최필립 이사장 사퇴 후 김삼천 전 상청회 회장 선임
정수장학회 1~10대 이사장 모두 ‘박정희·박근혜’ 측근들 지명

[뉴스포스트=허주렬 기자]정수장학회가 지난달 25일 사퇴의사를 밝힌 최필립 전 이사장의 후임으로 김삼천 전 상청회 회장을 선임했다.

정수장학회의 감독기관인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28일 “정수장학회가 지난 27일 이사회를 열어 신임 이사장에 김삼천 전 상청회 회장을 선임했다”고 밝혔다.

김 신임 이사장은 경북 청도 출신으로 영남대 화학공학과 서강대 경영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정수장학회 장학생 출신인사 모임인 상청회(회원수 3만8,000여명)의 26~27대 회장(2005~2012)을 역임했다. 또 한국문화재단의 감사로도 2009~2012년까지 활동했다.

영남대, 한국문화재단, 정수장학회 등은 모두 박근혜 대통령이 이사장을 역임한 재단으로 김 신임 이사장은 박 대통령과 가까운 ‘박근혜의 사람’으로 분류된다. 또 박 대통령도 서강대 출신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매년 공개하는 국회의원 후원회 후원금 모금액 현황에 따르면 김 신임 이사장은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의원 신분일 당시 개인후원금 최고한도인 500만원씩 수차례 후원금으로 납부하기도 했다.

그간 끊임없이 ‘장물 논란’이 제기되며 사회 환원 요구를 받아온 정수장학회에 최 전 이사장에 이어 또 다른 ‘박근혜의 사람’, 김 신임 이사장이 지명됐다는 점에서 파문이 예상된다.

앞서 정수장학회는 고 김지태 씨의 부일장학회를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이 5·16쿠데타 이후 사실상 강탈해 설립한 재단으로 ‘5·16장학회→정수장학회’로 이름이 바뀌어가는 동안 박 전 대통령 또는 박근혜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들이 이사장을 맡아왔다.

5·16장학회 △초대 이관구 이사장(1962~1965)은 재건국민운동본부장 출신 △2대 엄민영 이사장(1965~1968)은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고문 출신 △3대 김현철 이사장(1968~1979)은 국무총리, 공화당 창당 발기인 출신 △4대 최선채 이사장(1979~1980)은 박 전 대통령의 친구로 모두 박 전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들이다.

박 전 대통령의 사후인 1982년 1월 4일 5·16장학회는 박 전 대통령의 ‘정’자와 고 육영수 여사의 ‘수’자를 합쳐 정수장학회로 개칭했는데, 이후 △5대 조태호 이사장(1980~1988, 박근혜 대통령의 이모부) △6대 김창환 이사장(1988~1992, 육영재단 어린이회관장) △7대 김귀곤 이사장(1992~1995, 상청회 고문) △8대 박근혜 이사장(1995~2005) △9대 최필립 이사장(2005~2012, 박 전 대통령 재임 당시 박근혜 영애 담당 공보비서관)까지 박근혜 대통령의 측근들 혹은 박 대통령이 직접 이사장을 맡았다.

그간 박 대통령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지목받아왔던 정수장학회가 최 전 이사장의 후임으로 또다시 ‘영남대-한국문화재단-상청회’ 등을 거치며 박 대통령과 직·간접적 관계를 맺어온 김 신임 이사장을 선임함에 따라 정수장학회 사회 환원 논란은 다시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당장 민주통합당 박용진 대변인은 28일 오후 국회 브리핑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정수장학회가 이미 사회 환원이 됐고, 본인과는 무관하다고 하지만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국민은 없다”며 “오늘 신임 김삼천 이사장의 면면이 그것을 고스란히 보여준다”고 꼬집었다.

이어 박 대변인은 “김 신임 이사장은 정수장학회 장학금을 지원받은 대학졸업생모임인 상청회 회장이었고, 매번 박 대통령에게 정치후원금을 내왔던 분이다. 또 대구 출신, 영남대 졸업 등의 이력만 보더라도 박 대통령과의 관계를 지울 수 없는 분”이라며 “이번 신임 이사장의 선임을 박 대통령과의 관계정립 및 사회 환원의 중요한 지표로 보고 있었던 국민들로서는 몹시 실망스러운 일”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박 대변인은 “최필립 이사장의 사퇴를 계기로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을 이루고 설립 취지에 맞는 운영을 바랐던 국민적 요구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것”이라며 “사회 환원은커녕 친박 인사에서 또 다른 친박 인사로 얼굴만 바꾸는 국민기만행위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덧붙여 그는 “이로 인해 박 대통령이 정수장학회의 사회 환원을 통한 국민대통합의 길로 나설 것이라던 모든 기대를 접을 수밖에 없고, 정수장학회와 관련한 사회적 논란의 재현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