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올해는 실질적인 전기차 원년으로 간주해도 전혀 지나치지 않은 해이다. 지난 MB정부 때 5년간 진행하던 전기차 공급 1천여 대가 모두 공공용으로 공급하던 반면에 작년 말부터 본격적으로 민간용 공급으로 전환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작년 160여대를 제주도를 시작으로 민간에 공급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올해 이를 잇는 대규모 공급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올해 민간 공급량은 1천300여대 정도이다. 지난 수년 간 진행하던 공급량 전체를 능가하는 물량이다. 더욱이 중앙정부의 보조금과 지자체의 보조금을 합쳐서 지원 금액이 2천여만원이 넘는 만큼 실질적인 민간 부담액은 나머지 2천여 만원 정도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국산 전기차에 수입 전기차가 가세하면서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다른 지자체의 가세가 예상될 정도로 열기가 고조되기 시작했다. 예전과는 완연히 다른 분위기이고 무언가 하지 않으면 도태된다는 의식이 커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좋은 징조이고 드디어 전기차가 수면 위로 올라오는 한해가 될 것으로 의심치 않는다.

물론 이러한 물량이 시장에 얼마나 영향을 줄 것인지 회의적인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최근 국제 사회에서의 환경적인 규제와 친환경차의 필요성 등을 생각하면 생각 이상으로 전기차가 틈새시장을 크게 벌려놓을 가능성이 높다.

기존 내연기관차를 대체한다는 논리보다 주변 인프라와 환경에 맞는 강력한 친환경차가 한 가지 더 보태진다는 논리가 더욱 맞을 것이라 확신한다. 미리부터 원천 기술 확보와 표준 기준 확립 등 선점적인 위치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우리는 유럽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하여 목소리만 냈지 실질적인 움직임은 매우 느린 국가였다고 할 수 있다. 그 만큼 뒤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우리는 1천여대 공급에 그친 반면에 일본이나 유럽, 미국 등은 민간용 판매가 훨씬 이전부터 진행하여 공급 물량도 그렇지만 상당한 노하우가 쌓여가고 있다는 뜻이다.

우리는 이제 시작한 민간용 전기차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아직 확보하지 못하고 있고 전기차 애프터마켓은 이제야 시작하는 단계이다. 그나마 위로를 찾을 수 있는 것은 제주도라는 특화된 지역이 있다는 것이다. 제주도는 이미 민간용 공급이 가장 먼저 시작되었고 전기차와의 필수적인 요소인 충전 인프라가 면적당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설치된 지역이다. 여기에 지자체와 주민들의 전기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도 높아서 중앙정부 측면에서 가장 심혈을 기울이는 지역이다. 이 지역의 성공 여부는 국내 전기차 활성화의 잣대가 되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도 제주도를 천혜의 지역으로 생각할 만큼 무공해 영역의 대표 주자가 되는데 부족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올 3월 15일부터 제주도 중문에서 펼쳐지는 국제 전기차 엑스포는 중요한 트리거 효과를 나타내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확신하다.

이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차세대형 전기차의 개발과 공급이다. 우리 국산 전기차는 아직 제대로 된 양산형 전기차를 공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산형 전기차 전문 플랫폼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기존 내연기관 라인에서 엔진과 변속기를 빼내고 모터와 배터리를 장착한 일종의 개조 전기차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메이커 입장에서는 기존의 라인을 사용하면서 전기차를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는데 당장 비용이 덜 사용되기 때문에 선호할 수 있다. 이러다보니 생산측면에서 필요 없는 비용이 수반되고 부품이 포함되며, 무게도 무거워지며, 전기차 고유의 색깔을 내는데 한계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비용, 효율, 운행특성 등 모든 면에서 한계가 나타나고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현재의 국산 전기차는 모두가 이러한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비하여 가장 주목을 받는 모델이 바로 BMW i3이다. 이미 유럽과 미국에 판매되기 시작했고 가격도 4천 5백만원에서 5천만원 사이 정도로 가격 경쟁력부터 남다르다. 프리미엄 브랜드에 다른 차종과 유사한 가격인 강력한 잇점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 모델이 주목받는 이유는 다른 전기 차종과 달리 전기차를 위한 플랫폼부터 설계에 이르기까지 전기차 하나만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다.

전기차에 가장 영향을 주는 무게를 낮추기 위하여 탄소섬유와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무게를 400Kg 이상을 줄여 가벼우면서도 날렵한 신체를 가졌다. 여기에 전기차 전용 부품과 특성에 맞는 부품 조립과 비용 절감을 위한 전기차 전용의 생산 라인은 다른 메이커의 모범이 되는데 전혀 부족함이 없다는 것이다. 완성도가 다른 전기차와 비교과 되지 않을 만큼 많은 경쟁력을 가졌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래서 더욱 무서운 모델이면서 벤치마킹 모델이라는 것이다. 이 모델이 올 5월에 국내 시장에 선을 보인다. 그 동안 전기차 개발에 소홀하였던 현대차 그룹이 이제야 본격적인 전용 전기차 개발에 나선 점은 그나마 다행이라 판단된다. 작년 말부터 시작하여 2016년을 목표로 BMW i3 같은 경쟁력 있는 전기차 전용모델을 개발하겠다는 복안이다. 좀 일찍 시작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한 번의 실수는 시장을 모두 뺏긴다는 논리를 하루빨리 깨달았으면 한다. 결국 기술도 뒤지고 시장도 뺏기고 뒷북만 치는 실수가 있어서는 안된다는 뜻이다.

올해 국내 시장은 여러 모로 중요한 한해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자동차 분야에서 중요한 변수가 나타날 것으로 보이나 그 중에서도 전기차의 변화는 클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에 현재 가장 민감한 현안인 저탄소 협력금 제도는 현재의 전기차 보조금을 대신할 제도인 만큼 중요한 잣대가 되기 때문이다. 하루속히 전국적으로 충전 인프라 등이 구축되어 누구나 구입할 수 있는 전기차 틈새 시장이 열리기를 바란다.
 

<김필수 대림대학과 자동학과 교수>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