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가솔린 하이브리드차가 세상에 선을 보인 지 18년째에 이르고 있다. 1997년 12월 도요타 프리우스가 도쿄모터쇼를 통하여 얼굴을 내밀었다. 기존의 가솔린엔진에 모터를 가미하여 속도 및 운행 특성에 따라 가장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친환경차 중 가장 대표적인 모델이다.

그러나 초기에 시장의 반응은 차가웠다. 생각과 달리 연간 100만대 판매 시장이 되는데 10년 이상의 세월이 필요하였다. 소비자들은 새로운 시스템에 흥미를 가지면서도 정작 본인이 구입을 하게 되면 기존의 내연기관을 선택하는 습성이 쉽게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지금도 이러한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서 소비자의 마음을 변화시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가늠하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부각된 전기차도 쉽지가 않고 연료전지차는 아직 먼 미래라고 단언할 수 있다. 특히 일찍부터 하이브리드차를 집중적으로 연구한 일본의 도요타차는 미래의 가능성을 보고 다른 메이커에 앞서서 집중적으로 투자한 기업이다.

하이브리드차 초기부터 지금까지 전 세계 하이브리드차 특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핵심적인 부분은 역시 도요타가 최고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만큼 가솔린 하이브리드차는 최고의 연비 수준과 안정된 시스템을 보유한 친환경차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약 7년 전에 LPi 하이브리드차를 현대차 아반떼 등 2개 차종에 장착하였으나 기술적으로 낮은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과 인식 제고 실패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으며, 그 이후 일본의 특허를 피하여 독자적으로 약 5년 전에 중형 하이브리드차 2개 기종을 출시하기에 이르렀다.

물론 초기에 비하여 인기를 끌고 있지는 못하고 있으나 스테디셀러로 점차 판매율이 증가하고 있고 다른 급의 차종으로 확대되고 있는 모습은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의 흐름은 국산차와 수입차의 다양한 하이브리드차종이 확대되면서 치열한 점유율 전쟁을 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대부분이 승용디젤차의 인기가 주요인이라고 할 수 있으나 하이브리드차종은 점차 기세를 높이고 있고 향후에 더욱 좋은 성적이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세계 환경 변화가 크게 변하면서 점차 환경 규제의 대상에 자동차가 가장 우선 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4대 중 3대를 수출하는 우리의 입장에서는 점차 강화되는 자동차 환경기준을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일은 기본이기 때문이다. 연비기준과 이산화탄소 배출기준 등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면서 제살 깎는 수출이 아닌 이윤을 남기면서 할 수 있는 최고의 기종이 바로 하이브리드차이기 때문이다. 그 만큼 상당기간 동안 기술 축적과 대량 생산을 통한 안정화가 가능한 기종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로 안정되고 입증된 기술이다. 130년 역사의 내연기관을 중심으로 모터를 가미하는 특성은 기존의 틀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개념을 가미한다는 측면에서 소비자의 안정되고 신뢰성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 부각되는 친환경차 중 전기차는 배터리 문제 등 아직 안정된 부분이 적고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여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아직 전기차는 주종보다는 틈새 차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차는 우리가 세계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세계 최초의 양상차를 생산하고 있다고 하나 아직은 일반 소비자와는 거리가 먼 모델이다.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고 가장 중요한 경제성 측면에서 해결하기에는 쉽지 않은 측면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안정되고 시장의 인정을 받으면서 까다로운 환경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유일한 친환경 차종이 바로 하이브리드차라고 할 수 있다.

셋째로 국내에서는 이제야 하이브리드차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크게 바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국내의 3급 운전인 급출발, 급가속, 급정지 등 나쁜 운전 습관으로 하이브리드차의 장점인 고연비 특성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하이브리드차는 신호등 앞에서 정지 시 자동 시동정지, 제동 시 회생제동으로 배터리 전기에너지 충전, 특히 저속이나 주차 시 모터로만 가동되는 고효율 특성 등은 운전습관과도 큰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 동안 우리의 나쁜 습관으로 혹평을 거듭하다가 최근에 점차 진가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차는 정속 운전인 고속도로보다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도심지 운행에서 큰 장점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도요타가 국내 시장에 하이브리드 택시를 2천만원대에 출시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심지에서 그 진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고 다른 어떠한 메이커보다 하이브리드 기술이 뛰어나고 고연비 특성을 자신하기 때문이다.

넷째로 이러한 진가에 대한 세계 메이커의 움직임은 다양한 친환경차를 공급하면서도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는 만큼 점차 그 종류가 더욱 확대되고 다양해진다는 것이다. 여기에 최근 기술적으로 안정된 디젤 하이브리드차가 출시되면서 영역을 넓힐 것으로 확신한다. 이미 일본 시장은 도심지에서 상당수의 자동차가 하이브리드차도 무장하고 있을 정도이다. 다섯째 하이브리드차의 장점에 전기차의 장점을 부각한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는 더욱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미 시장에서 하이브리드차의 진가를 확인하고 있고 판매율이 증가하는 모습은 눈여겨봐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의 경우도 예전과 달리 하이브리드차를 보는 시각이 크게 달라지고 있고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차가 출시되면 중요한 변화를 이끌 것으로 판단된다. 역시 이 중심에 도요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국내 자동차 시장에 하이브리드차의 바람이 점차 거세질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승용디젤차의 바람이 현재는 가장 거대한 실정이나 아직 존재하는 부정적인 시각에 비하여 하이브리드차는 가장 안정되고 이미 인정받은 차종이기 때문이다. 향후 더욱 치열해지는 시장을 확인하기 바란다.

김필수 대림대학과 자동학과 교수

<외부 필진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