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부 우승민 기자

[뉴스포스트=우승민 기자] 지난 11월 16일 해남·음성에서 의심축이 신고 된 이후 시작된 조류인플루엔자(AI)가 한 달 동안 빠르게 확산돼 심각단계에까지 이르렀다.

현재 정부에서는 확진 판정된 농가를 중심으로 긴급 방역조치를 실시하고 있고, 두 차례에 걸쳐 일시 이동중지 명령을 내렸지만 AI 확산속도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의 방역대책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똑같이 AI가 발생한 일본의 경우 그 빠른 대응이 놀랍기만 하다. 올해 11월 28일 일본의 아오모리현과 니카타현 농장에서 가축위생보건소에 AI의심 신고가 들어왔다. 이에 일본 정부는 즉시 AI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3등급’으로 올렸고 현재 일본에선 AI의 광범위한 확산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대응방식에 미루어볼 때 우리 정부의 방역조치에 문제가 있었다는 점을 인정하고 바꿔야 한다. 이번 고병원성 AI H5N6형은 중국에서 ‘조류→인체’ 감염과 함께 사망자 사례까지 낸 유형으로 인체감염도 주의해야할 만큼 위험하다.

하지만 당국이 지속적으로 방역조치를 행하고 있음에도 AI 확산을 막기는커녕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는 인체감염 위험이 코앞으로 다가온 것이나 다름없다.

현재 우리나라는 영남지역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AI바이러스가 검출된 상태로 영남지역과 제주도까지의 확산도 시간문제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미 정부의 통제 시스템이 무력화되지 않았나 하는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

이런 상황이라면 AI에 빠르게 잘 대처한 일본의 방역대책을 참고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방역당국이 실시하는 방역조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거나 방역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AI 확산속도가 심각했던 2014년 때와 다를 바 없는 방역대책을 유지하면 안 된다. 같은 대책으로는 영남지역과 제주도도 안심할 수 없다. 방역당국은 기존의 방역체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하지만 과연 무엇이 강화되었는지 의문이다. 향후 근본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하지만 단순히 계획만 하는 것은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매년 발생하는 AI에 대해 방역조치를 강화하고 있다는 말의 성찬에 그친다면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신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