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부 설석용 기자

[뉴스포스트=설석용 기자] 지난 달 9일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황교안 국무총리는 헌정사상 8번째 권한대행을 맡게 됐다.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전 대통령이 하야하고 장면 총리까지 사퇴한 뒤 허정 외무장관이 권한대행을 맡아 첫 번째 권한대행으로 이름을 올렸고, 그 뒤 윤보선 대통령 선출 전까지 곽상훈 민의원 의장과 백낙준 참의원 의장이 차례로 권한대행을 맡아 국정을 운영한 바 있다.

또 1961년 5.16 군사정변 발생 후 박정희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대통령 권한을 대행했고, 1979년 10.26 사태 후에는 최규하 당시 총리가 권한대행을 맡았다. 최규하 대통령이 사임한 뒤에는 박충훈 국무총리 서리가 권한대행을 지냈고, 황 총리 직전에는 고건 전 총리가 노 전 대통령을 대신해 국정을 운영하기도 했다.

이 중 대통령을 역임한 권한대행은 박정희, 최규하 등 두 명이다. 최규하 전 대통령은 최초의 국무총리 출신 대통령이다. 10.26사태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사망하자 국정 공백을 메우기 위해 당시 국무총리였던 최 전 대통령이 부득이하게 권한대행을 맡게 된 것이다.

이와 반대로 박 전 대통령은 군사정변을 주도한 장본인으로서 제5·6·7·8·9대 장기 집권하며 독재정권의 역사를 썼다.

최 전 대통령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군사정부가 들어서면서 임기를 마치게 돼 사실상 대통령직은 약 1년간 수행하는 것에 그쳤다.

최근 황교안 권한대행에 대한 '대권설'이 정치권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역대 권한대행들을 살펴봐도 역할 자체가 평탄치 않은 시대상을 대변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이들 중 대권의지를 갖고 있었던 권한대행을 박 전 대통령으로만 보여 진다. 독재정치를 펼치며 대한민국의 정치적 사상을 양극화하는 데 일조한 부분도 있지만 확실히 경제성장의 발판이 됐다는 성과는 여전히 뒤따르는 평가다.

그러나 현 시대에서는 투표를 통한 선출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득권 유지'라는 국민적 오해를 살 명분이 충분하다. 특히나 자신의 소신을 밝힐 필요가 있다는 대목이다.

대통령의 기득권 유지가 얼마나 무서운 결과를 초래했는지는 현 정부에 몸담으며 누구보다 많은 고생을 했던 '황교안 체제'가 모를 리 없다.

황 권한대행은 2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선 출마설을 묻는 질문에 "지금은 그런 여러 생각을 할 상황이 아니다"라며 이도저도 여지를 남겨 구설수만 불러왔다. 시대적 사명감, 국가 성장 등의 대의(大義)가 있다면, 국민들은 듣길 원한다. 그렇지 않다면 입장을 확실히 해줘야 더 이상의 오해가 생기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