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김나영 기자]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적정 노후생활비가 월평균 251.5만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택구입 및 부채 상환 때문에 현재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서울시민은 전체의 절반이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서울연구원)
(사진=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이 이러한 내용을 담은 '1/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서울시민의 노후준비 실태'를 26일 발표했다.

서울에 주거하는 부부가 노후 생활비로 적정하다고 생각한 금액은 '200만~300만원 미만'이 46.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300만~400만원 미만'이 27.4%, '100만~200만원 미만'이 16.2%으로 조사됐다.

적정 노후생활비는 연령이 낮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30대 이하가 생각하는 적정 노후생활비가 267.7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259.1만원), 50대(245.3만원), 60대(230.4만원)으로 응답했다.

서울시민이 노후로 생각하는 시기는 '65세 이상'이 36.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70세 이상(26.5%), '60세 이상'(25.3%)가 그 뒤를 이었다.

현재 노후생활을 위한 금전적 준비가 '보통'이라는 응답이 40.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못하고 있음'(32.0%), '잘하고 있음'(13.4%) 순으로 조사됐다. 

노후생활 준비가 잘 안 되고 있는 주된 이유로는 '주택구입 및 부채상환'을 꼽는 응답자가 43.1%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자녀 교육비 및 양육비 지출이 많아서'(21.8%), '아직 노후준비에 관심이 없어서'(12.4%) 라고 응답했다.

현재 '노후 준비 중'이라는 답변은 전체 응답자의 절반(49.9%)을 차지했고, '노후준비 못함'(28.9%), '준비할 예정(14.6%), '준비를 다 함'(6.5%)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민의 노후생활자금 준비 방식은 주로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에 의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이 49.5%를 차지했고, '개인연금 및 연금보험 등 사적연금'이 25.0%로 조사돼 전체의 4분의 3에 달했다. 

노후생활자금 준비 방식은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60대는 '부동산·임대수입·역모기지론'(20.8%)을 비교적 많이 활용하는 데 비해 30대 이하는 '은행상품'(16.5%)을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했다. 

서울시나 정부의 노인복지정책을 '모른다'는 답변이 57.3%로 '알고 있다'(42.%)는 응답자보다 14.6%p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민은 가장 시급한 노후대책으로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 지원정책'(40.0%)을 가장 많이 꼽았고, '노인 의료 복지 서비스 확대'(20.6%), '치매국가책임제도 확대'(17.8%), '기초노령 연금제도 수급액 및 대상 확대'(11.9%)이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