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한국 전쟁 제68주년 기념식이 열린 가운데, 이날 이낙연 총리는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북 화해를 강조했다.

6·25 전쟁 제68주년 행사가 열린 25일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6·25 전쟁 제68주년 행사가 열린 25일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25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68주년 6·25전쟁 기념식에서 이낙연 총리는 "어떤 난관이 생기더라도 신념과 끈기를 가지고 한반도 평화정착과 민족 공동번영을 향해 직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평화와 번영이야말로 국내외 참전용사의 헌신에 대한 최고의 보답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어 "기적처럼 찾아온 평화의 기회를 반드시 살려 나가겠다"며 "이미 북한은 핵실험 시설 한 곳을 공개리에 폭파했고, 미사일 엔진 시험장 폐쇄를 미국에 약속했으며 미군 유해의 송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휴전선 비무장지대에서의 남북 상호 비방방송이 중단됐고, 확성기가 철거됐다. 장사정포의 후방 이전이 논의되고 있으며 한미 양국은 연합군사훈련의 유예를 결정했다"며 "남북한 100명씩 이산가족이 8월 하순 금강산에서 재회한다"고 부연 설명했다. 정부는 오는 8월 15일 이산가족 상봉을 갖기로 했다.

올해 두 차례 남북 정상회담과 최초의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것도 언급했다. 이 총리는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으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확립이 시동 걸렸다"며 "이런 대전환을 중국, 일본, 러시아도 지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총리는 참전용사와 국군장병에 대해서도 말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이 자리에는 6.25 참전용사부터 신임 임관 장교와 현역 사병들까지 함께 하고 계신데, 국가 안보에 한 치의 소홀함도 생기지 않게 할 것을 다짐하겠다"며 "그런 바탕 위에서 우리는 국제사회와 협력하며 평화와 번영의 길을 굳건히 걸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전사자 유해를 찾아 정중히 안치해드리는 일도 북한과 협력하며 서두르겠다"며 "DMZ 유해발굴이 시작되면 해외 참전용사의 유해도 함께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총리뿐만 아니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야당 역시 남북 화해를 강조했다.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체제와 이념을 넘어 이산가족 문제는 기본적 인권문제로 가장 우선적으로 풀어내야 할 시대적 과제"라며 "일회성 이산가족 상봉을 넘어 정례화, 상시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혜선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길었던 반목의 세월을 뒤로하고 남북이 함께 손잡고 한반도 미래를 활짝 열어야 할 때"라며 "이것만이 호국영령을 진정으로 기리는 것"이라고 전했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이제는 종전선언을 통해 휴전상태를 종식 시키는 것 만이 전쟁 희생자들 염원을 실현하는 길"이라며 "민주평화당은 한반도 비핵화, 종전선언, 평화협정 결실을 볼 수 있도록 국민과 함께 적극 노력할 것"이라 밝혔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남북 관계 개선을 높이 사면서도 더욱 철저한 대비를 주문했다.

김성원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남북, 미북 정상회담으로 북한의 완전한 핵 폐기를 통한 한반도 평화의 꿈은 진일보했다"면서도 "북한이 약속한 완전한 비핵화 조치는 시작도 안 됐는데 한미군사훈련 중단과 우리 군 자체 훈련 연기, 주한미군 철수 거론 등 국민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발발했다. 남북한의 군인은 물론 미국 등 16개국 군인들이 유엔군으로 참전했고, 중공군도 전쟁에 뒤어들었다. 유엔군과 중공군의 참전으로 국제전의 양상을 띄게됐다. 3년간 치열한 전쟁을 벌인 남북은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을 끝으로 휴전상태로 남게 됐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