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대한민국 중·고등학생 17.6%는 스스로 목숨을 끊을 생각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서울대학병원 제공)
(사진=서울대학병원 제공)

20일 서울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김붕년 교수팀은 일산백병원, 대구카톨릭대병원, 제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팀과 함께 소아청소년 정신질환 실태를 조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6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서울과 경기 고양, 대구, 제주 등 총 4개 권역 초·중·고등학생 4,057명을 대상으로 소아·청소년 정신질환 유병률과 관련 위험요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진단된 유병률은 적대적 반항 장애(5.7%)가 가장 많았다. 특정 공포증(5.3%),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장애(3.1%), 틱장애(2.6%), 분리불안장애(2.3%)가 뒤를 이었다.

고위험군 유병률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11%), 적대적 반항 장애(10%), 분리 불안장애(5%), 사회공포증(5%), 틱장애(5%) 순이었다.

성별에 따라 분석해보면 남성에서는 적대적 반항 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틱장애가 많았다. 여성에서는 불안장애, 우울장애, 섭식장애의 비율이 높았다.

어린 나이에 외상을 겪거나 엄마의 임신 중 스트레스가 있으면, 위 문제 진단의 위험성이 약 2배 이상 높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살 관련 설문에서는 대상자의 17.6%가 자살에 대해서 생각한 적이 있었다. 3.7%는 자살 의도를 가졌고 5.8%는 의도는 없지만 자해 행동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과 자해에 대한 위험성은 우울과 불안이 심할수록 높았으며, 반항적이거나 공격적인 행동으로 표현되는 외현화 증상과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처럼 국내 소아·청소년들은 다양한 정신질환 문제를 겪고 있지만, 대상자의 17%만이 전문가에 도움을 요청했다. 소아청소년정신과를 통한 약물치료 경험도 6%에 그쳤다.

김 교수는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결정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소아·청소년 정신질환에 대한 대응책과 보건의료 및 교육복지 서비스 투입에 대한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최소 3년에 한 번씩은 체계적이고 전국적인 역학조사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