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김혜선 기자] 9·19 남북 군사합의에 따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이 완전히 무장 해제됐지만 최근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또다시 교착상태에 빠지면서 연내 민간인 관광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사진=뉴시스)
무장해제 된 판문점 전경. (사진=뉴시스)

12일 유엔사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원래는 12월 쯤 판문점 관광 재개를 계획했지만 군정에서는 ‘시기상조’라는 얘기를 한다. 사실상 연내 판문점 재개는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북한에서도 민간인 왕래 등 판문점 관광에 대한 답변이 없는 상태”라면서 “1월 중순 경 다시 관광 재개 논의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원래 판문점 관광은 극도로 제한된 환경에서 이뤄졌다. 남측과 북측은 철저히 공간을 나눴고, 무장한 군인들이 총기를 들고 경비를 섰다. 하지만 남북 군사합의로 JSA 비무장화가 진행되면서 민간인이 북쪽 지역을 자유롭게 왕래하며 관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무장해제한 남북한군 각 35명이 ‘판문점 민사경찰’이라고 쓴 완장을 착용하고 근무하기로 했다. 경비를 서는 초소도 남한 경비는 북측 초소에 북측 경비는 남측 초소에서 근무를 서는 방안을 논의 중이었다.

JSA 구역은 지난 10월25일 비무장화 된 이후 최소 연내 관광이 재개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많았다. 당시 본지와 통화한 유엔사 관계자도 “판문점 관광이 연내 재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막상 12월에는 판문점 관광 재개는커녕 북한과의 협의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최근 또다시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북한과 미국은 2차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고위급회담을 열기로 약속하고 물밑접촉을 이어왔지만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급기야 미국은 지난달 8일 겨우 성사됐던 북미고위급회담을 ‘일정이 분주하다’며 연기했다.

북한도 그동안 자제하던 미국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를 관영 매체를 통해 흘려보내기 시작했다. 미국은 ‘제재’ 고삐를 더 틀어쥐었다. ‘세계 인권의 날’인 10일(현지 시각) 북한의 2인자 최룡해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조직지도부장과 정경택 국가보위상, 박광호 선전선동부장 등 3명에게 인권유린 책임을 물어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것.

북미 간 줄다리기에 앞서 평양 정상회담의 답방 격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약속한 연내 서울 답방도 무산됐다. 앞서 우리 정부는 북한 측에 연내 서울 답방 일정 등을 물었지만 북한 측에서는 일정은 물론 연내 답방 여부에 대한 어떠한 답을 주지 않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 9일 “현재로서는 확정된 사실이 없으며, 서울 방문은 여러 가지 상황이 고려돼야 하는 만큼 우리로서는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