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2차 세계대전 후 프랑스는 조국을 배반하고 나치에 협력한 문학·예술인에 대해서는 어떠한 탄원이나 구명운동도 받아들이지 않고 부역자를 숙청했다. 그들이 '도덕과 윤리의 상징적 존재'라고 봤기 때문이다.

(사진=인문서원 제공)
(사진=인문서원 제공)

우리는 35년 동안 일제의 식민 지배를 받았지만, 친일에 부역한 단 한 명의 문인도 단죄하지 못했다. 이후 그들은 일말의 참회도 없이 해방된 독립 조국의 과실까지 아낌없이 챙겼다. 각종 문학단체의 대표를 역임하며 문화훈장을 받고, 나아가 문학상으로 기려지고 있기도 하다.

이책은 과거의 행적은 모두 어디로 사라졌고, 그들은 왜 민족과 역사 앞에 친일을 했는지 묻고 있다. 저명한 친일작가는 문학사에 획을 그은 작품들로, 잊힌 친일작가는 문학사에서 중요하지 않다는 이유로 친일의 기록이 문학사에 온전히 남아 있지 않다.

하지만 저명하기에 또는 잊혔기에 더욱더 일제 강점기 그들의 삶과 행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친일 작가들은 일본 제국주의를 찬양하고, 전쟁을 미화한 데 그치지 않는다. 조국의 젊은이들을 전쟁터로 떠밀면서 일제를 위해서 목숨을 바치라고 선동했고, 일본군 '위안부'가 후방의 여성들에게 허락된 유일한 애국의 길이라고 주장했다.

저자 장호철은 30년 동안 국어 과목을 가르치고 교단을 떠나면서 느낀 마음속의 짐 때문에 이 책을 집필했다. 한국 현대 문학사의 장을 연 유명한 문인들에 대해서 가르칠 때마다 일제에 협력하여 민족을 배반한 그들의 '과(過)'를 함께 가르치지 못하였다는 점 때문이다.

이에 저자는 친일파 연구의 고전이 된 고 임종국 선생의 '친일문학론'과 민족문제연구소에서 펴낸 '친일인명사전'을 넘나들면서 부역문인들의 친일 작품 목록과 내용들을 인물별로 꼼꼼히 정리했다.

친일파, 친일 문인에 대하여 이야기하다 보면 그와 함께해 온 임시정부 100년과 독립 100년의 역사를 따로 떠올리게 된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친일 문인의 일제 강점기 행적이 독립운동가의 삶과 따로 떨어진 시대의 이야기가 아니며, 이후 반독재 민주주의 운동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그들의 삶 전체를 통해 느낄 수 있다.

또한 남한 현대사에서 친일문인들이 '메인 스트림'에서 밀려나지 않고 전 생애를 주류로 살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북한에서도 해방 후 승승장구한 역사적 사례를 통해 '분단'이라는 민족사의 비극이 현대사를 얼마나 왜곡하고 굴절시켜 왔는지를 알 수 있다.

그들의 삶을 친일 이전과 이후 다시 변절한 이후까지를 온전히 그려내는 작업은 역사를 제대로 자리매김하는 시작이며, 이후 분단된 남북의 한국 근현대 문학사를 총체적으로 완성하는 미래를 향한 첫 발걸음이라고 저자는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