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선초롱 기자]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서비스 ‘품질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늘어난 가입자 수에 비해 5G 서비스 커버리지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통사들이 시장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보다는, 5G 품질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 5G 서비스 품질 논란 ‘여전’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신업계에 따르면 5G 서비스 가입자 수는 지난달 29일 기준 약 26만명으로 집계됐다. 5G 서비스 수신 가능범위(커버리지) 등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5G 기지국도 5만4202개(장치 수 11만7001대)로 전주 대비 약 7% 증가했다. 

수치상으로만 보면 상용화 초기보다는 5G가 자주 잡혀야겠지만, 체감으로 느낄 수준은 아니라는 게 사용자들의 이야기다. 5G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아직도 5G가 안 터진다”, “도대체 어디에 가야 5G를 사용할 수 있는 거냐”는 등의 자조적인 목소리를 내뱉기도 했다. 기자 역시  휴대폰의 네트워크 모드를 ‘5G 우선모드’로 해놓고 생활을 했지만, 5G 서비스는 사용할 수 없었다. LTE(4G)를 이용하고 있는데도 휴대폰 상태표시줄에 5G로 표시되는 현상도 여전했다.

실제로 소비자시민모임이 지난달 5일부터 26일까지 약 3주간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5G 이동통신으로 접수된 소비자 상담(131건)을 분석한 결과, 10건 중 9건이 ‘5G 서비스 품질 불만’으로 나타났다. 5G 이동통신으로 접수된 상담 131건 중 ‘5G 서비스 품질 불만’이 89.3%(117건)로 가장 많았고, ‘가입단계 문제(6.9%)’, ‘단말기 품질(3.8%)’ 순으로 나타났다. ‘5G 서비스 품질 불만’은 주로 ‘5G 사용 도중 자꾸 끊김 현상이 발생한다’, ‘5G 통신이 지원되지 않는 지역이라 LTE를 이용하고 있다’ 등이었다.

소비자시민모임은 “정부와 이동통신사들은 5G 세계 최초 상용화 타이틀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5G 개통 초기 품질 불량에 따른 적극적인 피해보상대책 개통취소 요금감면 또는 요금제 변경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정부·이통사·제조사, 5G 서비스 점검 TF 구성

계속되는 5G 품질 논란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통사, 제조사와 함께 ‘5G 서비스 점검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 5G 서비스 품질 관련 주요 현안과 해결방안 등의 모색에 나섰다. 또한 LTE를 이용하고 있는데도 휴대폰 상태표시줄 상에는 5G로 표시되는 현상도 이달 중 개선키로 했다. 

이통 3사도 품질 개선을 위한 조기 커버리지 확대를 추진 중이다.

SK텔레콤은 서울, 6대 광역시 등 전국 85개 시 핵심 지역과 대학가, KTX, 해수욕장 등 데이터 사용이 많은 지역에 커버리지를 확보한 상태로, 올해 하반기엔 전국 지하철, 국립공원, 축제현장 등을 중심으로 커버리지를 확대할 계획이다.

KT는 통신사 최초 ’5G 커버리지 맵(map)’을 공개하고 제조사와 협력을 통한 네트워크 품질 개선과 커버리지 확대 등 품질 개선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기존 커버리지 맵의 기지국 수를 지역과 제조사별로 세분화한 '5G 커버리지맵 2.0버전'을 선보였다.

LG유플러스는 서울·수도권 및 광역시와 85개 주요도시 지역 중심으로 상반기 5만개, 연내 누적 8만개의 5G 기지국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KT와 마찬가지로 홈페이지에 5G 서비스 커버리지맵을 공개한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