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선초롱 기자] 한국전력기술을 이끌고 있는 이배수 사장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경영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은 것은 물론 기관장 경고까지 받았다. 실적도 좋아질 기미는 보이지 않고, 주가 역시 하락세다. 회사 안팎으로 밀려드는 악재에 이 사장의 경영 리더십에 대한 의문까지 나온다.

이배수 한국전력기술 사장. (사진=한국전력기술 홈페이지)
이배수 한국전력기술 사장. (사진=한국전력기술 홈페이지)

◇ 경영평가 ‘낙제점’

한국전력기술은 ‘2018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미흡(D)’ 등급을 받았다. 평가 성적은 탁월(S)·우수(A)·양호(B)·보통(C)·미흡(D)·아주미흡(E) 등 6개 등급으로 분류되는데, 지난해 평가에서 받은 ‘보통(C)’ 등급보다 한 단계 낮아졌다. 예산편성에 있어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것은 물론, 성과급도 받지 못하게 됐다. 게다가 기관장 경고조치까지 받았다.

반면 다른 에너지 공기업들은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지난해 실적 부진을 겪었음에도 경영평가에서는 좋은 결과를 받았다. 한국남동발전과 한국동서발전은 대규모 적자에도 B등급을 받았고, 한국중부발전은 189억원의 손실에도 A등급을 받았다.

이런 이유로 한국전력기술의 경영평가 등급 하락에는 사회적 가치 창출에 대한 기여도가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정부의 이번 경영평가는 30년 만에 평가제도를 전면 개편한 후 처음으로 실시한 평가로, 안전, 윤리경영, 일자리, 상생 협력 등 사회적 가치 평가 관련 평가 배점이 종전보다 50% 이상 대폭 확대했다. 아울러 경영혁신, 혁신성장 지원 등 혁신성도 비중 있게 평가했다.

한국전력기술의 채용 실적을 살펴보면, 지난해 90명을 신규 채용해 전년대비 채용규모를 63.3% 늘렸다. 그러나 비정규직 인원만 2017년 40명에서 2018년 92명으로 증가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파견용역 등 소속외인력의 정규직 전환실적도 없었고, 고졸 채용인력도 역시 없었다.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채용인력을 늘리고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타 공공기관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라는 평가다.

◇ 실적개선 ‘낙제점’

그렇다고 이배수 사장이 아무 것도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오히려 평가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체질개선에 힘써왔다. 지난해 취임 당시에도 에너지신사업 기술투자와 사업역량을 강화시키고 해외시장을 통해 핵심 사업영역을 확장해나가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를 위해 탈원전 등 에너지 전환정책에 따라 조직개편을 단행했고, 원전사후관리그룹을 구성해 사후관리 분야를 강화했다. 또한 글로벌마케팅실, 혁신성잔전략실 등을 신설해 해외 원전 수출과 발굴에 나서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영업수익의 기반 확보로 이어지지 않았다. 발전소 설계 및 플랜트 엔지니어링 회사인 한국전력기술의 매출은 3분의 2가량이 원전 설계에서 발생한다.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 추진으로 국내 일감은 사실상 끊긴 데다, 해외에서도 수주 일정이 계속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사우시아라비아 원전 건설 사업은 예비사업자 선경결과가 감감무소식이고, 영국 무어사이드 원전 건설사업 추진도 지지부진한 상태다. 이밖에 체코, 폴란드, 불가리아 등 동유럽과 카자흐스탄 등에서도 원전사업 수주를 진행하고 있지만 초기 입찰단계로 결과물이 나오기에는 아직 이른 단계다.

국내외 사업 지연은 결국 실적 하락으로 이어졌다. 올해 3분기 한국전력기술의 매출은 821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8.1% 감소했고 전년 대비 18.9% 줄었다. 영업이익도 전분기 68억 원으로 흑자를 기록했지만, 올해 3분기에는 영업손실 48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올해 3분기 19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부진한 실적은 주가 하락의 결과를 가져왔다. 지난 달 29일 현대차증권은 한국전력기술의 목표주가를 2만 4,000원에서 2만 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은 중립을 유지했다. 강동진 연구원은 “3분기에 예상치를 밑도는 부진한 실적을 내놓으며 영업적자를 기록했고, 대규모 원전 수주나 신규사업 발굴 등 대안을 마련하지 않으면 매출 감소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결국 이배수 사장은 매출과 순이익이 감소한 것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창출도 미흡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경영 능력이 시험대에 오르는 모습이다. 이외에도 원전기술 유출 파문, 코드 인사 상임감사 인사 논란 등이 계속되고 있어, 이 사장의 어깨가 점점 더 무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