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김혜선 기자] 정의기억연대의 회계누락, 부동산 논란 등 각종 의혹에 휩싸인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의혹 해소를 위해 29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윤 당선인은 “이용수 할머니의 여러 지적과 고견을 새기는 것과 별개의 문제로 직접 피해자에게 현금 지급을 목적으로 모금한 돈을 전달한 적이 없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불거진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회계부정 의혹 등 각종 논란에 대한 입장 발표를 끝내고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불거진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회계부정 의혹 등 각종 논란에 대한 입장 발표를 끝내고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 당선인은 “정대협의 30년은 피해자 할머니들과 국민여러분 세계 시민이 함께하셨기에 가능했습니다. 믿고 맡겨주신 국민들게 깊은 상처와 심려를 끼친 점 진심으로 사죄드린다”면서 “오늘 다 소명되지 않은 내용은 제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국민들께서 충분하다고 판단하실 때까지 한 점 의혹 없이 밝혀나가겠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에 따르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개인에 지급된 성금은 총 1억4550만 원이다. 윤 당선인은 “전대협은 그동안 전체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모금을 크게 세 차례 진행했다”며 “첫 번째는 1992년 운동 시작 단계에서 피해자들의 생활이 너무나 힘들어 보여 국민 모금을 한 차례 진행했다. 그 모금액은 당시 신고한 피해자들에게 균등하게 250만 원씩 지원해드렸다”고 설명했다.

이어 “두 번째는 일본 정부가 법적 배상이 아닌 민간 모금을 통한 아시아 여성 평화 국민기금을 조성, 피해자들에게 위로금을 지급한다고 할 때 할머니들과 국민들과 함께 적극 반대하였고 정대협은 시민모금을 진행했다”며 “시민모금에 한국정부가 예산을 더하여 아시아여성평화 기금에 상응하는 지원금 약 4300만 원이 피해자 개인에게 전달됐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는 “세 번째, 2015 한일합의를 무효화하고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국민모금을 진행했고 10억 엔을 거부한 할머니들에게 같은 금액 1억 원씩을 전달했다”며 “정의연은 이미 5월8일에 2017년 국민모금한 1억원을 전달한 영수증과 1992년 당시 모금액을 전달한 영수증을 공개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불거진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회계부정 의혹 등 각종 논란에 대한 입장 발표를 끝내고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불거진 정의기억연대(정의연) 회계부정 의혹 등 각종 논란에 대한 입장 발표를 끝내고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다음은 윤 당선인 기자회견 초반부 전문.

안녕하세요 더불어민주당 윤미향입니다. 지금까지 저에게 제기된 문제에 대해 국민들에게 설명드리기 위해 이 자리에 섰습니다. 지금부터 입장문을 발표하겠습니다.

지난 26일 또 한분의 피해자 할머니가 돌아가셨습니다. 먼저 30년의 수효시의 버팀목으로 병마와 시달리면서도 전 세계를 돌며 피해를 증언했지만 가해국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도 못받고 돌아가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영령에 깊은 조의를 표합니다.

정대협의 30년은 피해자 할머니들과 국민여러분 세계 시민이 함께하셨기에 가능했습니다. 믿고 맡겨주신 국민들게 깊은 상처와 심려를 끼친 점 진심으로 사죄드립니다.

지난 7일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 이후 몰아치는 질문과 의혹 제기, 때론 악의적 왜곡에 대해 더 빨리 사실관계를 소명하지 못한 점도 죄송합니다. 피해자를 넘어 인권운동가로 정대협 운동의 상징이 되신 피해 할머니의 통렬한 비판에서 비롯되었기에 더욱 힘들었습니다. 30년 평탄치 않았던 정대협 운동 과정에서 더 섬세하게 할머니들과 공감하지 못한 점 한시라도 빨리 피해자분들이 살아계실 때 피해자분들의 명예를 회복해드려야 겠다는 조급함으로 매순간 성찰하고 혁신하지 못한 저를 돌아보고 또 점검하고 있습니다.

30년의 수많은 사실을 재정리하는 일이 생각보다 쉽지 않았습니다. 저의 입장표명을 기다리게 해드려 국민여러분께 다시 한번 죄송합니다. 지금부터는 국민 여러분들께서 궁금해하시는 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미 정의연 등에서 사실관계를 소명하게 알고 계시는 사항은 가급적 중복을 피하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다 소명되지 않은 내용은 제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국민들께서 충분하다고 판단하실 때까지 한점 의혹 없이 밝혀나가겠습니다. 다만 검찰 조사를 앞두고 있어 세세한 내용을 말씀드릴 수 없는 점을 미리 양해드립니다.

먼저 모금한 돈을 할머니에게 안 쓴다, 전달하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전대협은 그동안 전체 피해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모금을 크게 세 차례 진행했습니다. 첫 번째는 1992년 운동 시작 단계에서 피해자들의 생활이 너무나 힘들어 보여 국민 모금을 한 차례 진행했습니다. 그 모금액은 당시 신고한 피해자들에게 균등하게 250만 원씩 지원해드렸습니다.

두 번째는 일본 정부가 법적 배상이 아닌 민간 모금을 통한 아시아 여성 평화 국민기금을 조성, 피해자들에게 위로금을 지급한다고 할 때 할머니들과 국민들과 함께 적극 반대하였고 정대협은 시민모금을 진행했습니다. 시민모금에 한국정부가 예산을 더하여 아시아여성평화 기금에 상응하는 지원금 약 4300만 원이 피해자 개인에게 전달되었습니다.

세 번째, 2015 한일합의를 무효화하고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국민모금을 진행했고 10억 엔을 거부한 할머니들에게 같은 금액 1억 원씩을 전달하였습니다. 정의연은 이미 5월8일에 2017년 국민모금한 1억원을 전달한 영수증과 1992년 당시 모금액을 전달한 영수증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이용수 할머니의 여러 지적과 고견을 새기는 것과 별개의 문제로 직접 피해자에게 현금 지급을 목적으로 모금한 돈을 전달한 적이 없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정대협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 정부에게 1. 역사적 사실 인정 2. 진상 규명 3. 공식적인 사죄 4. 법적 배상 5. 역사교과서에 기록하고 교육 6. 추모비와 사료관 건립 7.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정대협은 생존자 복지사업을 포함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다방면의 활동을 공개적으로 해왔으며 이런 활동 모두가 할머니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한 길이라고 생각하며 활동해왔습니다. 물론 지금도 매월 피해자 방문 전화 생활에 필요한 지원을 하고 있고 할머니들이 거주하는 지역에도 함께 지원하는 조직들이 있습니다.

한편, 할머니들의 생활비 지원 등 복지사업의 경우 이미 30여년 전부터 정대협 주도의 입법 운동으로 1993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생활안정 지원 및 기념사업법이 제정되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왜 성금을 전부 할머니에게 지원하지 않으냐는 일부의 비난은 그간의 성과와 정대협 운동의 지향을 살피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30년간의 운동사를 폭넓게 헤아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