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김혜선 기자]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을 앞세워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고 대남 확성기를 재설치하는 등 대남 강경책을 이어가던 북한이 돌연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보류’ 지시로 도발 행위를 멈췄다. 갑작스러운 대남정책 전환에 북한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강경정책을 이어갈 경우 ‘부메랑’을 맞을 수 있다는 판단을 했다고 보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조선중앙TV 캡처)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진=조선중앙TV 캡처)

24일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본지에 “북한이 당중앙군사위원회 예비회의 개최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하면서 예상보다 빠르게 초강경정책에서 정책전환을 시도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 센터장은 “북한이 초강경 드라이브로 대북 전단 살포는 절대로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남측에 분명하게 전달했다”면서 “한국정부도 이번 기회에 대북 전단 살포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규제하겠다는 입장을 보였으므로 북한도 일정한 실익을 거두었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앞서 북한은 남측 탈북자단체에서 추진한 대북전단을 두고 김여정 제1부부장이 직접 나서 비난 담화를 발표한 바 있다. 이어 김 제1부부장은 대남 정책을 ‘군사 적대’로 돌리겠다고 선언하고 판문점 선언 결과물인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기까지 했다. 이어 북한은 판문점 선언에서 철거를 합의한 최전방 확성기를 재설치하는 등 강경 대응을 펼쳐왔다.

그러나 이러한 강경 기조는 김정은 위원장의 ‘보류’ 선언으로 중단됐다. 이날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열린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7기 5차 회의 예비회의에서 북한군 총참모부가 제기한 대남 군사행동계획을 보류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북한 군 총참모부는 지난 16일 대변인 발표를 통해 밝힌 군사행동계획은 △금강산·개성공업지구 군대 전개 △비무장지대 초소 진출 △접경지역 군사훈련 △대남전단 살포 지원 등이다.

정 센터장은 “(김 위원장이) 더 멀리 나아가면 득보다 실이 더 크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면서 “북한이 대남 전단을 대량 살포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원 낭비가 불가피하고, 대남 전단의 대량 살포와 확성기 방송 재개는 국제사회에서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이미지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기 때문에 북한에게 결코 합리적인 선택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초강경정책으로 한미연합군사훈련이 확대되고 미국의 전략자산이 수시로 한반도에 전개된다면 북한도 몹시 피로하게 되겠다”며 “한미연합군사훈련에 대한 부담감 그리고 군대 내 코로나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 등이 북한이 초강경 드라이브에서 후퇴한 배경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향후 남북관계가 개선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정 센터장은 “북한이 뒤늦게나마 초강경정책에서 일보 후퇴한 것은 다행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가 한국과 국제사회에 준 충격이 쉽게 가라않지는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남북한 간의 모든 통신선을 완전 차단하고 남한의 특사 파견까지 거부한 상황에서 남북관계가 과연 앞으로 다시 개선의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