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 지스타2025에 신작 게임 5종 출품
'이블베인' '나혼렙 카르마' 제작진 질의응답
[뉴스포스트=김윤진 기자] 넷마블은 지스타 기간인 13일 낮 3시 부산 벡스코 B2C관 회의실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열었다. 론칭을 앞두고 있는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와 '이블베인'의 각 담당자와 미디어 관계자들이 질의응답을 나누는 행사였다.
이 자리에는 최동수 넷마블몬스터 기획팀장, 이정호 넷마블 사업본부장(이상 이블베인), 권도형 넷마블네오 총괄 PD, 문준기 넷마블 사업본부장(이상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이 참석했다.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는 '나 혼자만 레벨업' 애니메이션 IP를 활용한 핵앤슬래시 로그라이트 RPG다. 원작에서 '윤회의 잔'을 사용해 과거로 돌아간 '성진우'가 차원의 틈새에서 보낸 27년간의 군주 전쟁 서사를 담았다.
이블베인은 넷마블몬스터에서 개발 중인 3인칭 협동(Co-op) 액션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다크 판타지 세계관에서 악마 군단에 맞서 인류 재건을 위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블베인 개발·사업 책임자 Q&A
협동 플레이가 미흡해 보이는데?
최동수: 현재 개발 초기 상태라 기획한 모든 것을 구현하진 못했다.
이블베인과 레이븐2와의 관계는?
이정호: 넷마블에 있어서 레이븐은 중요한 IP이므로 세계관을 확대하려고 논의해왔다. 이블베인은 본연의 액션성을 살리자는 취지에서 시작했다.
근거리, 원거리 무기를 하나씩 장착할 수 있게 한 이유는?
최동수: 이 게임의 콘셉트의 키워드는 '난전'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전장에서 개체들을 상대할 때 근거리와 원거리 무기가 다른 역할을 하게 된다.
이정호: 현재 시연 빌드는 프리셋 개념인데, 정식 서비스에서는 대기화면에서 무기를 세팅할 수도 있게 바꿀 예정이다.
사업, 마케팅 전략은?
이정호: 넷마블은 콘솔 게임에 갈증이 있었는데, 다른 경쟁사들 대비해서 선도하는 자리에 있다고 보기 어렵다. 그래서 유저들의 반응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진입할 것이다.
엔드 콘텐츠는?
최동수: 전쟁 자체가 엔드 콘텐츠로 유지될 것 같다. 전장에서 나오는 긴장감 속에 저희가 개발한 새로운 콘텐츠나 변수를 만들어서, 유저들이 새로운 플레이 경험을 가지도록 하는 게 목표다.
매출 목표는?
이정호: BM을 생각하고 만들고 있지 않아서, 아직 매출 목표는 정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무기는 커스터마이징할 매력이 있는데, 캐릭터는 크게 차별점이 없어 보이는데?
최동수: 캐릭터 활용 방안이나 플레이 경험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다. 무기를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중점을 두고 있고, 오히려 캐릭터는 능력치 차이를 줄여야 되지 않을까라는 의견도 나오는 상황이다.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 개발·사업 책임자 Q&A
타 게임들과의 차별점은?
권도형: 쿼터뷰 액션 게임들을 많이 참고했다. 나 혼자만 레벨업 IP를 활용한 게임을 만들겠다고 생각하고 출발했기에, 그림자 군단이나 성진우의 이야기 등 색깔을 잘 담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BM 방향성은?
문준기: 아직은 콘텐츠 개발에 집중하는 단계다. 성진우로 플레이하는 게임이므로 캐릭터 수집형 게임은 아니며, 월정액이나 배틀패스 등 BM을 생각하고는 있는데 아직 세부적으로는 정해지지 않았다.
게임 개발 시 중요하게 고려한 부분은?
권도형: 조작감과 전투에 신경 쓰고 있다. 에어본, 넉다운 등 리액션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싶었고, 호쾌하고 속도감 있는 액션을 잡으려고 노력했다.
문준기: 장르 측면에서는 더 많은 이용자들이 플레이할 수 있도록 난이도를 어렵지 않게 하고 싶었다. 백뷰나 숄더뷰 시점으로 하는 것보다는 쿼터뷰로 했을 때 전황 파악이 쉬울 거라 판단했다. 또 쿼터뷰 시점에서는 플레이어 스스로가 전투를 잘한다는 감각을 느낄 수 있다.
'뱀서 라이크' 이벤트 던전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면?
권도형: 이벤트 던전은 보조 콘텐츠다. 다만 스토리 진행도에 관계 없이 플레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벤트 던전이 주가 될 수도 있다. 캐릭터 육성 요소를 얻을 수 있는 콘텐츠로도 생각 중이다.
경쟁 요소가 있나?
권도형: 게임이 지속력을 가지려면 유저들이 같이 할 수 있는 게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요소를 도입할지는 아직 고민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