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부터 비수도권도 8명…미접종자는 최대 1명
내년 2월 청소년 방역패스…백신 접종에 집중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코로나19 신규 확진 환자 수가 연일 5천 명대 안팎으로 확인되고, 새 변이 바이러스까지 국내에 유입되면서 정부가 방역 강화 조치를 발표했다. 사적 모임 가능 인원을 줄이고, 방역패스 적용 시설을 전면 확대하는 조치를 시행한다.
3일 김부겸 국무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는 감염의 확산세를 빠르게 진정시키기 위해서 사적 모임 인원 제한을 강화한다”며 “내주부터 4주간, 사적 모임 허용인원을 수도권은 최대 6인, 비수도권은 8인까지로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백신 미접종자는 1명까지만 포함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최대 4명까지 모일 수 있었다. 사실상 오는 6일부터 4주간 미접종자끼리의 만남은 불가능하다.
김 총리는 “높은 백신 접종률을 기반으로 일상에서 감염위험을 낮추기 위해 방역패스를 전면적으로 확대 적용하고자 한다”며 “식당과 카페를 포함한 대부분의 다중이용시설에 적용하며, 실효성 있는 현장 안착을 위해 1주일의 계도기간을 둘 예정”이라고 전했다.
다만 “방역패스 확대 시행과정에서 전자출입 명부 설치비용 등이 영세한 업체에는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조금이라도 이러한 부담을 덜어 드릴 수 있는 방안을 관계 부처 간 논의를 거쳐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청소년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방역 강화 조치도 이어진다. 김 총리는 “앞으로 두 달간 청소년들이 백신 접종을 하고 항체가 형성되는 기간을 감안해 내년 2월부터는 청소년들이 즐겨 찾는 대부분의 시설에 방역패스를 적용하기로 했다”고 했다.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날이 갈수록 악화하자 정부는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 조치에서 방역 강화로 노선을 변경했다. 지난 1일부터 이날까지 신규 환자 수는 5천 명대 안팎을 오가고 있는 데다, 새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감염 사례가 국내에서도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방역 패스는 사실상 내년 2월부터는 대부분 업종에 전면 시행될 전망이다.
김 총리는 연말연시 접촉 자제와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그는 “고령층 3차 접종과 청소년 기본접종이 방역의 키를 쥐고 있다. 대상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동참을 다시 한번 간곡히 요청드린다”며 “마스크 쓰기 등 기본 방역수칙은 항상 실천해주시고, 연말에 계획하신 만남이나 모임도 가급적 뒤로 미뤄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부터 한 달간을 ‘특별방역점검기간’으로 정해 운영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