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영재학교 합격자 대부분이 수도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액의 사교육을 받아야 영재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어느 정도 수치로 증명됐다.

(그래픽=뉴스포스트 강은지 기자)
(그래픽=뉴스포스트 강은지 기자)

18일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교육걱정’)과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학년도 영재학교 합격자 838명 중 66.5%인 557명이 수도권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합격생 중 69.2%(334명)가 다니는 중학교는 사교육 밀집 지역에 있었다.

전국 8개 시·도에 거점형으로 배치된 영재학교가 각 지역의 우수한 학생이 아닌, 사실상 수도권에서 사교육으로 길러진 영재를 영입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입학 예정자들 중 서울·경기 출신이 52.8%(47명)로, 세종 출신 16.9%(15명)보다 3배 이상 많았다. 한국과학영재학교는 2.4배, 대전과학고와 대구과학고는 1.5배나 수도권 출신이 많았다.

교육부는 지난 2020년 ‘영재학교 지역인재 우선선발 확대’ 방안을 발표했지만, 2023학년도까지 수도권 학생 쏠림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별도의 지역 인재 전형을 두지 않고, 1·2단계 전형에서 선발 지역을 학교와 시도교육청이 결정하도록 한 점이 문제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교육걱정과 강 의원은 “진학을 희망하는 초·중학생에게 매월 수백만 원의 사교육비 지출을 요구하고 있는 비정상적인 현행 영재학교 체제”를 개선해야 근본적 해결이 이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필고사로 치러지는 영재학교 입학시험, 중·고교 교육과정을 가르치지 않을 채 진행되는 대학 수준의 수학·과학 교육과정, 수학·과학 관련 경시대회 대비 프로그램이 주요 원인”이라며 “사교육을 통해 정답을 요구하는 유형화된 문제풀이 과정은 타고난 영재성을 발굴해 이공계 인재로 양성한다는 영재교육의 취지를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결책으로 ‘지필고사 폐지’를 내세웠다. 지필고사 형식의 입학 전형이 존재하는 한 사교육을 막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추가적으로 ▲ 지원자가 속한 광역시·도의 영재학교 1곳 지원 ▲ 시도교육청 산하 영재발굴센터 시설을 통한 영재 선발 방식 혁신 ▲ 시도교육청 위탁교육 형태로 체제 전환 등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