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이물질 파동과 선진국의 대처법

 

 

생쥐깡 파문으로 시작된 식품 이물질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관계당국과 소비자들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 특히 농심의 경우 생쥐깡 파문 이후에도 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되고 대기업인 롯데제과에서는 과자류에서 금속나사가 발견돼 소비자들을 놀라게 하고 있다.
식품업체들은 고심을 하면서 후속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떨어진 신뢰도를 회복하기는 쉽지 않다. 일각에서는 선진국의 경우를 들면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뉴스포스트>에서는 선진국의 사례와 국내 사례를 비교해보고 소비자의 의식전환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봤다.

 

생쥐깡으로 시작된 식품 이물질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일부 제품에서 집중적으로 소비자들의 제보가 잇따르고 있어 문제가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지난 5일 대기업 제품인 롯데제과에서 금속 이물질이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경기도에 사는 박 모(38,남)씨는 최근 황당한 일을 겪었다. 슈퍼에서 구입한 롯데제과의 모 스낵에서 0.5cm의 금속이 나왔던 것.
박 씨는 “출출한 참에 저녁에 사놓은 과자를 아내와 먹고 있던 중 입속에서 딱딱한 이물질이 걸려 봤더니 금속 너트였다. 연일 언론에서 문제 삼았던 것을 내가 직접 겪어보니 정말 황당했다. 다행히 아이들이 먹지 않아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다.”며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고 한다.
이에 대해 롯데제과 관계자는 “이물질이 들어간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특히 해당 과자는 하청업체에서 생산을 하고 있는데 생산라인에 모두 금속탐지기가 있어 이물질을 걸러내고 있다”고 해명했다.

끊이지 않는 식품사고...소비자 의식 변화해야
미국은 소비자들 천문학적 소송에 기업 ‘조심’


이뿐 아니다. 이보다 앞선 지난 4일에는 생쥐깡으로 문제가 됐던 농심의 모 사발면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경기도의 모 주유소에서 일하는 직원 김 모(47,남)씨는 인근 마트에서 구입한 농심의 사발면에서 플라스틱 조각 2개가 발견돼 해당업체에 신고를 했다.
농심 관계자는 “직원을 보내 제품을 회수하고 이물질의 정확한 성분과 들어간 경위를 조사했다. 조사 과정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생산과정에서는 들어갈 수 없다고 판단된다. 어찌됐든 이런 일이 연이어 일어나 국민들에게 죄송하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식품 이물질 사고가 왜 자꾸 일어나는 것일까.
식품사고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전에도 식품에서 이물질이 발견된 적은 많았다. 다만 그것을 발견한 소비자들이 해당업체에 신고를 해도 정확한 사실관계를 규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무심코 지나가 버렸다.
결국 이런 문제가 쌓이고 쌓여 터져버린 것이다.
한 시민 단체 관계자는 “아무리 엄격한 법을 적용한다고 해도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때에는 소비자들의 힘을 보여줘야 한다. 먹거리 사고에 지나치게 관대하지는 않았는지 국민 모두가 반성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실제 대형 마트를 제외한 소규모 슈퍼에서는 일부 먹거리에 대한 판매율이 이물질 파문 이전으로 회복되고 있다.
마포의 한 슈퍼마켓 주인은 “처음엔 소비자들이 이물질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있어 판매가 줄었지만 4월 들어서는 다시 원상태를 회복하고 있다. 이곳뿐 아니라 소매상 대부분이 과자류 매출이 다시 회복되고 있다.”고 전했다. 인근의 슈퍼마켓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마포의 한 주민은 “우리나라 사람들은 쉽게 흥분하고 쉽게 잊는 경향이 있다. 소비자들의 힘을 보여줘야 한다. 그래야 사람이 먹는 식품안전에 더욱 신경을 쓸 것”이라고 주장했다.
소비자 단체 관계자는 “해외 선진국의 경우 소비자들이 문제 기업에 불매 행동으로 철저히 응징하기 때문에 기업 스스로 식품위생에 철저하다. 미국의 경우, 소비자들이 천문학적인 보상금 소송 사례가 적지 않아 미리 해당 회사가 리콜을 하고 철저히 관리를 한다. 이는 소비자들의 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 외면에 파산한 일본 회사
선진국의 경우, 제조물책임법을 두고 확실한 규명을 통해 문제가 되는 기업들에 철퇴를 가한다.
미국의 경우 연방식품의약국(FDA)과 농무부 등이 막강한 리콜 권한을 갖고 있다. 97년에는 허드슨사의 햄버거에 병원성 대장균이 발견되자 29만 5000파운드의 햄버거를 리콜했다. 또한 햄버거 총 생산량에 개당 얼마씩 피해보상액을 책정해 천문학적인 벌금을 물게 했다. 결국 허드슨사는 파산했다.
독일의 경우, 연방과 주정부 역할이 확실히 나눠져 있다. 연방은 식품안전에 관한 법규와 기준을 만들고 주정부는 실제 조사, 감시 활동에 전념한다.
음식문화가 발달된 프랑스의 경우도 식품안전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다. 재무부 산하에 공정거래소비부정방지국, 농림부 식품국, 보건부 사회보건행정국 등의 행정조직이 있다. 가까운 일본도 마찬가지다. 특히 일본의 경우 국민들의 까다로운 식품 안전 원칙 때문에 한번 신뢰를 잃게 되면 회사의 존립과 직결될 정도다.
실제 일본의 한 유가공업체의 경우 2000년 초 회사가 파산 직전까지 갈 정도로 타격을 받았다.
오사카 공장에서 생산한 저지방우유가 유통과정에서 변질돼 집단 식중독을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당시 일본 소비자들은 해당 업체의 제품 불매운동을 시작했고 일본의 대표적 유가공업체인 유키지루시는 파산 직전에 이를 정도의 타격을 받았다.
이는 일본인들의 식품에 대한 의식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일본인들의 이 같은 모습은 식품에 국한되지 않는다.
부품 결함을 알면서도 리콜을 미룬 사실이 드러난 미쓰비시 자동차의 경우 실무책임자가 아니라 최고경영자인 사장과 임원 6명이 무더기로 체포됐다. 이후 소비자의 신뢰가 무너지면서 미쓰비시 자동차는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엄격한 법 규정도 중요하고 기업들의 윤리의식도 중요하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문제에 따른 소비자들이 실천적 행동인 것이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