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옥희 기자

[뉴스포스트=안옥희 기자] 독립영화전용관 인디스페이스가 정부의 지원사업 중단으로 인한 재정난과 멀티플렉스의 스크린 독과점 등으로 운영 위기에 처해있다.

위기를 타계하고자 지난 4월부터 ‘Save Our Story, Save Our Space’를 슬로건으로 후원 상영회 등 후원캠페인을 벌여왔고 지난달 크라우드 펀딩을 오픈해 이달 말까지 진행한다.

인디스페이스는 국내 최초 독립영화전용관으로 지난 2007년 11월 8일 서울 중구 명동 중앙시네마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인디스페이스의 등장은 어렵게 영화를 만들고도 흥행의 논리에 밀려 상영관을 구하지 못해 관객과 소통할 길이 없던 거개의 독립영화인뿐 아니라 관객에게도 다양한 영화를 누릴 기회를 제공해 독립영화계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었다.

영화진흥위원회의 위탁을 받아 독립영화배급지원센터에서 운영하던 인디스페이스는 영진위의 일방적인 사업자공모방식 변경으로 지원금이 끊겨 2009년 12월 31일 문을 닫았다.

관객과 영화인들의 자발적인 후원에 힘입어 2012년 5월 재개관한 인디스페이스는 민간 독립영화전용관으로 재탄생해 관객과 독립영화와의 거리감을 좁히고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획전을 선보였다.

인디스페이스는 멀티플렉스에서는 볼 수 없는 실험적인 영화뿐 아니라 용산참사를 다룬 ‘두 개의 문’, 세월호 참사를 소재로 한 ‘다이빙 벨’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이슈를 다뤄 상영관을 확보하지 못했던 ‘문제작’들을 언제나 가장 먼저 상영하며 표현의 자유·문화적 다양성을 지키는 파수꾼을 자처했다.

독립영화의 파수꾼 역할을 하던 인디스페이스가 지금 또다시 위기에 봉착한 것은 멀티플렉스 독과점 현상 심화뿐 아니라 영진위의 지원 정책 변경 요인도 크게 작용했다.

영진위는 지난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예술영화전용관 지원 사업으로 매해 20곳 내외의 예술영화전용관 운영을 지원해오다가 지난해 폐지 결정을 내리고 7월부터 예술영화 유통배급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예술영화 유통배급 사업은 영진위가 선정한 독립영화에 한해 상영관 대관료, 홍보비용 등을 배급자에게 지원해주는 내용이다.

독립영화전용관은 현재 인디스페이스, 아리랑시네센터, 인디플러스, CGV압구정, 시네마테크 KOFA 5곳과 대구의 오오극장, 부산의 인디플러스 영화의 전당 등 총 7곳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영진위가 지원한 독립영화전용관은 영진위가 직영으로 운영하는 인디플러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영상자료원의 시네마테크 KOFA, 부산국제영화제 파행 사태를 촉발한 서병수 부산시장이 이사장으로 역임 중인 인디플러스 영화의 전당 3곳뿐이다.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인디스페이스 등 나머지 독립영화전용관들과 현재 파행을 겪고 있는 부산국제영화제 사태의 공통점은 모두 ‘다이빙 벨’ 상영 문제로 정부와 마찰을 빚었다는 점이다.

이를 두고 영화계는 사실상 정부의 심기를 건드리는 영화를 상영하면 지원금을 끊어 독립영화계를 길들이겠다는 횡포로 받아들여, 독립영화전용관의 운영 독립성과 다양성 더 나아가 영화예술의 표현의 자유와 문화적 다양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권과 정책이 바뀔 때마다 반복되는 인디스페이스 등 독립영화전용관들의 존립 위기를 지켜보며, 한국영화의 불안한 미래를 본다.

한국영화의 발전을 위한다면 지금처럼 관객과 만날 독립영화를 정부가 ‘선정’하는 것이 아닌 관객이 보고 싶은 영화를 직접 ‘선택’하도록 선택지를 넓히는 방향의 독립영화관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독립영화전용관은 자본의 논리에서 벗어나 표현에 있어서 ‘날 것’의 거침과 독창성을 가진 독립영화들도 공평한 상영 기회를 보장받고 관객이 다양한 영화를 선택해서 볼 권리를 박탈당하지 않기 위해 사수해야하는 마지막 보루가 됐다.

지금은 거장이 된 박찬욱, 봉준호, 류승완 감독 등도 독립영화를 찍던 시절이 있었고 톱 배우가 된 배우들에게도 한때 독립영화로 관객과 만나던 시절이 있었음을 상기하며, 한국영화계의 성장을 이끄는 인큐베이터로의 독립영화전용관 의미를 되새겨 볼 때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