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해마다 이듬해 최저임금을 결정을 앞둘 때는 경영계와 노동계의 갈등이 벌어졌다. 경영계는 최저임금의 동결 내지 삭감을, 노동계는 대폭 인상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 19라는 큰 변수가 있어 경영계와 노동계의 갈등이 더욱 팽팽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과 자영업자, 노동자 모두 어려운 상황. 대학생들의 생각은 어떨까.

대학생들 역시 최저임금 결정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상당수의 대학생이 아르바이트를 통해 생활비 등을 벌기 때문이다. 취업 정보 사이트 캐치가 지난달 대학생 회원 1,4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46%인 669명의 대학생들은 여름 방학 때 인턴이나 아르바이트를 한다고 대답했다. 코로나 19 사태에도 아르바이트가 필요한 대학생들이 여전히 많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내년도 최저임금만큼은 시국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이들 사이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편의점 아르바이트생. (사진=뉴시스)
편의점 아르바이트생. (사진=뉴시스)

2일 서울 소재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A(22)모 씨는 <뉴스포스트>에 “최저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노동계와 진보계의 정책은 이해한다”면서도 “현재로서는 자영업자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최저임금 동결이)불가피 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대학생 B(23)모 씨 역시 A씨와 마찬가지로 최저임금 동결을 지지한다며 “최저임금이 상승하면 물가도 상승하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반면 최저임금을 무조건 올려야 한다는 대학생의 의견도 있었다.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D(30)모 씨는 “최저임금으로 생계유지가 가능한 사회가 되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하면서 이 때문에 최저임금을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영계 vs 노동계, 최저임금 갈등 심화

해마다 이듬해 최저임금을 결정을 앞둘 때는 경영계와 노동계의 갈등이 있었지만, 올해는 코로나 19라는 큰 변수 때문에 경영계와 노동계의 갈등이 더욱 첨예하게 대립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저임금 노동자를 고용하는 편의점 업계가 최저임금 노동자를 대변하는 노동조합이 특히 크게 대립했다.

실제로 국내 4개 편의점 브랜드 점주들이 모인 한국편의점주협의회는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도 최저임금을 지난해 상승분인 2.87%만큼 삭감하라”고 최저임금 삭감을 촉구했다. 현재 최저임금은 시간당 8,590원인데, 이마저도 편의점 점주들이 감당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다.

편의점주협의회는 “편의점주 절반 이상이 월 최저임금의 절반밖에 벌지 못하고, 이 중 20%는 인건비와 임대료도 지불할 수 없는 적자 점포다. 점주들은 최저임금을 주지 못해 범법자가 되거나 폐업을 해야 한다”며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위기를 반영하고, 자영업자가 근로자와 공존할 수 있도록 최저임금을 전년 인상분만큼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2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 앞에서 민주노총 서울본부 노조원들이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2일 오전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협회 앞에서 민주노총 서울본부 노조원들이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편의점 점주들이 최저임금 삭감을 촉구할 동안 노동계에서는 정반대의 목소리를 이어갔다. 같은 날 서울 마포구 한국경영자총연합회 앞에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 서울지역본부 소속 노동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도 최저임금을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기자회견은 대전과 부산, 전북, 강원 등 전국에서 동시다발로 진행됐다.

민주노총은 전날인 1일 최저임금위원회 4차 전원회의에서 경영계가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2.1% 낮춘 8,410원을 요구한 것에 대해 항의했다. 당시 노동계는 올해보다 16.4% 높은 1만원을 제시했다. 민주노총 측은 “코로나 19로 최저임금 노동자들이 가장 먼저 일자리를 잃는 등 위기 최전선에 내몰리고 있다”며 “경영계는 삭감안을 철회하고 인상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저임금 심의는 이미 법정시한을 넘긴 상태다. 법정시한은 지난달 29일이었다. 고시 시한이 내달 5일이기 때문에 늦어도 이달 중순에는 심의를 마무리해야 한다. 오는 7일 예정인 5차 회의에서 경영계와 노동계 양측이 격론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