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레일 “열화상카메라 연장 지자체가 결정” 중구청 “장비 전적으로 코레일 책임”
- 지자체 운용 인력 탓에 열화상카메라 연장 어렵다는 코레일 해명 거짓으로 드러나
- 우리나라 최대 승객...연간 1400만명 오가는 서울역 ‘7시간 코로나 방역구멍’ 어쩌나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연간 1,400만 승객이 오가는 서울역이 코레일의 ‘거짓 해명’으로 코로나19 방역에 구멍이 난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19가 날로 확산하고 있는 시국에 책임을 회피하려는 코레일의 무책임한 태도가 1,400만 승객의 보건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평균 연간 승하차 인원 1,400만에 달하는 서울역 ‘7시간 방역구멍’


서울역 전경. (사진=이상진 기자)
서울역 전경. (사진=이상진 기자)

서울역은 우리나라에서 이용자가 가장 많은 역사다. 서울역의 연 평균 승차는 800만 명, 하차는 600만 명 규모다. 승하차를 합치면 연간 1,400만 명 정도가 서울역을 이용한다.

서울역에서는 KTX와 무궁화호, 새마을호 등을 승차할 수 있다. 서울에서 대전으로 가는 KTX 경전선의 경우 첫차 시간이 새벽 5시 5분이다. 부산에서 서울로 오는 KTX의 막차는 밤 10시 50분에 부산에서 출발해 서울역에 다음날 새벽 1시 16분에 도착한다.

하지만 이처럼 수백만 명의 승객이 새벽부터 오가는 서울역의 열화상카메라는 현재 아침 7시부터 저녁 8시까지만 운용한다. 열화상카메라를 운용하지 않는 새벽 5시 5분부터 아침 7시까지의 2시간과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새벽 1시 16분까지 5시간 등 7시간 가량의 방역에 구멍이 뚫린 셈이다.
 


코로나19 총력 대응한다는 코레일, 열화상카메라 운용에 무책임


손병석 한국철도 사장(가운데)이 지난달 21일 오후 동대구역에서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열화상카메라 설비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코레일 제공)
손병석 한국철도 사장(가운데)이 지난달 21일 오후 동대구역에서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열화상카메라 설비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코레일 제공)

앞서 코레일은 지난달 21일 코로나19가 확산함에 따라, 대응 수준을 심각단계에 준하는 총력 대응체제로 변환한다고 밝혔다.

이후 코레일은 △열차 운행 전후 소독 △모든 열차 기지입고 시 추가 방역 △1일 2회 역사 소독 △모든 직원 마스크와 장갑 착용 △매일 3회 전 직원에 대한 발열체크 등의 조치에 더해, 역사 내 열화상카메라 운용을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중점 대응으로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뉴스포스트> 취재 결과 코레일이 서울역에 설치해 운영하는 열화상카메라 운용시간이 코레일과 서울역의 무책임한 업무 태도로 인해 구멍이 난 것으로 드러났다. 코레일은 이를 감추기 위해 본지에 거짓 해명을 하기도 했다.
 


코레일·서울역 모두 책임 떠넘기기 바빠


서울역에서 열화상카메라 운용 요원들이 모니터를 살피고 있다. (사진=이상진 기자)
서울역에서 열화상카메라 운용 요원들이 모니터를 살피고 있다. (사진=이상진 기자)

서울역에 열화상카메라의 운용 시간을 지적하자 서울역 관계자는 <뉴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본래 9시부터 6시까지였던 열화상카메라의 운영시간을 지난달 24일 한 차례 연장한 것”이라며 “추가 연장에 대해선 코레일 본사에 문의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코레일 본사로 책임을 돌린 것이다. 이후 추가 설명을 요청하기 위해 서울역에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으나, 서울역은 본지의 연락을 받지 않았다.

이에 본지 취재진은 지난 28일 서울역을 직접 찾았다. 서울역에 설치된 열화상카메라 운영 요원의 소속을 알아보기 위해서였다. 서울역은 중구청에서 대여한 2대의 열화상카메라를 운용하고 있었다.

열화상카메라 모니터를 살피고 있는 운영 요원에게 다가가 소속에 대해 묻자 “그것은 말해줄 수 없고 급여를 어디서 받는지도 말해줄 수 없다”며 “서울역 3층에 있는 총괄 사무실에 문의해야 한다”고 했다.

취재진은 서울역 3층에 위치한 총괄 사무실을 찾아, 자리에 앉아 있는 3명의 서울역 관계자들에게 다시 한 번 열화상카메라 운용 요원의 소속에 대해 문의했다.

서울역 관계자들은 “이런 것 말해줘도 되나.......”라고 말끝을 흐렸다. 그러면서 “서울역에서는 말해줄 수 없고 코레일 본사에 문의해야 한다”고 또 다시 책임을 코레일 본사로 미뤘다.

이후 서울역이 해명한 내용의 진위 파악을 위해 취재진은 코레일 본사 관계자에게 열화상카메라 운영 요원의 소속에 대해 물었다. 해당 관계자는 운영 요원이 지방자치단체 소속이라고 답했다. 열화상카메라 운용 연장의 결정권이 지자체에 있다는 설명이다.

코레일 본사 관계자는 “서울역 열화상카메라의 장비와 인력 운용을 지자체에서 하기 때문에 지자체 측에 문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지자체와 열화상카메라 시간 연장을 논의하고는 있다”고 했다.
 


서울 중구청 “코레일에 장비 전적으로 빌려 준 것...인력 파견한 적 없다”


서울 중구청 청사. (사진=중구청 제공)
서울 중구청사. (사진=중구청 제공)

열화상카메라 운용 연장의 결정권이 지자체에 있다는 코레일의 해명에 대해 서울 중구청은 황당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구청 관계자는 “중구청에서는 생활안전과와 보건소에서 보관하고 있던 열화상카메라 2대를 서울역에 전적으로 제공했다”며 “열화상카메라의 운용 기간과 시간은 코로나19 사태가 끝날 때까지 코레일이 전부 담당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코레일과 서울역이 열화상카메라 운용 시간을 연장하는 것에 중구청의 동의가 필요 없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중구청에서는 서울역에 장비만 줬을 뿐 인력을 보내지 않았다”며 “코레일이 대체 중구청 누구와 소통했다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코레일이 열화상카메라 운영 연장 요청을 알린 적도 전혀 없었다”고 답했다. 코레일 측의 설명이 거짓말이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본지 취재진은 중구청의 답변을 토대로 다시 코레일 본사에 열화상카메라 운영 요원의 소속에 대한 자세한 해명을 요청했다.

그제야 코레일 본사 관계자는 “다른 곳은 전부 지자체에서 담당하는데 서울역만 방식이 다른 것 같다”며 “서울역만 코레일에서 담당하는 것 같은데 확인 후 연락주겠다”고 했다.

이후 본지에 다시 연락한 이 관계자는 “열화상카메라를 운영하고 있는 인력들의 소속을 콕 집어서 말하게 되면 책임 소재가 생겨 말하기 어렵다”고 해명했다. 열화상카메라 운용 인력의 소속을 분명히 밝히지 않음으로써 시간 연장의 책임을 부담하지 않으려는 것.

이어 해당 관계자는 “코로나19가 확산하는 어려움 속에서 장비와 인력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코레일과 지자체가 함께 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해주시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