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코로나 19 사태에 노인돌봄서비스 강화
농업계·일자리 직격...정부차원 노인 대책 필요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코로나 19 사태가 수달째 이어지면서 소득 감소와 노인 돌봄 공백 등 노년층의 고통이 가속화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노년층이 고립되지 않도록 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지자체를 넘어 정부 차원의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코로나 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일시 폐쇄된 서울 종로구의 한 노인복지관. (사진=뉴시스)
코로나 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일시 폐쇄된 서울 종로구의 한 노인복지관. (사진=뉴시스)

23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이날 국내 코로나 19 총 확진 환자 수는 1만 702명이다. 지난 1월 20일 국내에서 첫 코로나 19 확진 환자가 발생한 지 석 달이 지나면서 환자 수가 1만 명이 넘었다. 국내 코로나 19 확진 환자는 2월 중순 대구와 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하루에 최대 1천 명 가까운 인원이 확진 판정을 받기도 했다.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 두기, 개학 연기 조치 등이 내려지면서 4월에는 일일 확진 환자 수가 크게 줄었다. 추가 확진 환자 수가 하루에 10여 명 안팎에 머무르는 상황이 수일 째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로 노년층의 고통은 더욱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로나 19가 상대적으로 고령층에게 치명적인 탓에 노인들의 사회적·경제적 고립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홀로 거주하는 독거노인이나 저소득층이 코로나 19 장기화 국면에서 특히 피해를 입고 있다. 전국 각지에서 운영하는 무료 급식소들은 정부 방침에 따라 감염병 예방 차원에서 문을 닫은 았고, 식자재를 구입하기에는 소득이 턱없이 부족하다. 코로나 19 사태로 한 끼 해결조차 어려워진 상황이다. 오랫동안 이어진 사회적 거리 두기 방침에 정서적 소외를 느끼는 것도 또다른 문제다.

코로나 국면에 노인돌봄 맞춤 서비스

지자체들은 노령층이 코로나 19 사태에서 고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서울시는 취약 계층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비대면으로 주 2회 이상 안전 및 안부 확인과 상담 서비스가 제공됐다. 기저 질환이 있어 건강이 우려되는 노인들에게는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범위에서 일상생활을 지원했다.

서울시는 “고위험 독거 어르신 5천 명의 경우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활용해 각 수행기관에서 건강·안전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취약 어르신의 건강 상태 및 상황에 맞는 단계별 조치를 통해 돌봄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충북에서는 경로당과 복지관 운영 중단으로 인한 취약계층의 복지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돌봄 서비스를 강화했다. 독거노인 등을 대상으로 하던 안부 전화를 주 2~3회에서 매일 1회로 늘리고, 전화 말벗 서비스도 주 2회 진행한다. 결식이 우려되거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도시락, 반찬 등 식품을 배달한다.

지난달 24일 성동구청 관계자들이 서울 성동구 성동구청에서 코로나 19 여파로 자택에 머무는 독거노인들에게 전달되는 콩나물 키트를 나르고 있다. 성동구청 역시 경기 용인시와 마찬가지로 독거노인들의 정서적 고립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에게 콩나물 싹을 전달했다. (사진=뉴시스)
지난달 24일 성동구청 관계자들이 서울 성동구 성동구청에서 코로나 19 여파로 자택에 머무는 독거노인들에게 전달되는 콩나물 키트를 나르고 있다. 성동구청 역시 경기 용인시와 마찬가지로 독거노인들의 정서적 고립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에게 콩나물 싹을 전달했다. (사진=뉴시스)

 

보다 색다른 방식으로 노년층을 지원하는 지자체도 있다. 경기 용인시는 오는 24일까지 노년층의 외로움을 덜 수 있도록 새싹이나 콩나물 재배 키트를 전달한다. 감염병 취약계층이 외부활동을 하지 못하는 동안 소소한 즐거움을 느끼도록 도우려는 취지다. 화성시는 돌봄 공백이 우려되는 치매 노인들을 위해 방문 홈트레이닝을 진행한다. 감염병 예방을 위해 방문 인력을 1~2명으로 최소화하고, 마스크 착용과 방문 시 소독 등을 한다.

코로나에 노인휴직자 15배 증가

지자체별로 노인돌봄서비스를 강화한다고 해도 감소한 노인 소득 문제를 당장 해결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일시 휴직자 160만 7천 명 중 65세 이상이 45만 9천 명으로 전체 28.6%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65세 이상 일시 휴직자가 3만 1천 명인 것을 비교해 보면 1년 사이 노인 휴직자가 약 15배나 증가했다.

해당 연령대의 휴직 사유를 보면 사업 부진과 조업 중단이 74.1%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 19 여파로 정부의 노인일자리 사업이 일시 중단되면서 노령층 참여자 상당수가 일시 휴직 상태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 19 사태의 장기화가 노령층의 소득에 타격이 간 것이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타 직종보다 노령층 종사자들이 많은 농업 분야도 마찬가지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2월 28일 발표한 성명에서 “외식 소비 위축에 따른 농산물 수요 감소와 병원, 은행 등 복지·편의시설 폐쇄에 따른 지역 서비스 기능 마비 등 각종 직간접 피해가 우려된다”고 전한 바 있다. 현장에서는 개학 연기 때문에 학교급식 식자재를 납품하는 농업인들이 식자재를 폐기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노령층이 코로나 19 사태 장기화로 더 이상의 피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는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전국농민회연맹 등 농업계에서는 이르면 내달 초 통과 예정인 코로나 19 추가경정예산안에 농업 지원 예산을 포함하라고 요구하는 상황이다. 엄중한 시국에서 노인들의 사회적·경제적 고립을 막기 위해서 지자체 차원의 복지 대책을 넘어 정부 차원의 강력한 대책이 필요할 때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