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디지털 성범죄 상담사례 첫 분석 결과 내놔
2022년 서울시 디지털 성범죄 통합대응센터 추진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디지털 성범죄 가해 청소년 10명 중 9명 이상이 해당 범죄의 심각성을 모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청소년들의 안일한 인식을 바로 잡아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진=뉴스포스트 DB)
(사진=뉴스포스트 DB)

27일 서울시가 디지털 성범죄 가해 청소년 91명을 대상으로 상담 분석한 결과 이들 중 대다수가 디지털 성범죄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전날 서울시는 디지털 성범죄로 학교폭력심의위원회에서 징계 명령을 받거나 교사, 학부모를 통해 상담이 의뢰된 청소년을 대상으로 첫 분석 사례는 내놓은 바 있다.

범죄 가해 동기는 중복 답변을 포함해 ▲ 큰일이라고 생각하지 못함 21% ▲ 재미나 장난 19% ▲ 호기심 19% ▲ 충동적으로 16% ▲ 남들도 하니까 따라 해보고 싶어서 10% ▲ 합의된 것이라고 생각해서 4%순으로 나타났다.

가해 행위 유형별로는 불법 촬영물 게시, 공유 등 ‘통신매체 이용’ 43%로 다수를 차지했다. ▲ 불법 촬영 등 ‘카메라 등 이용촬영’ 19% ▲ ‘불법 촬영물 소지’ 11% ▲ ‘허위 영상물 반포’ 등 6% 순이었다.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는 안일한 성범죄 의식 때문에 발생하는 것만은 아니다. 디지털 기술을 가장 쉽게 접하고 다룰 수 있는 청소년들이 쉽게 범죄와 연결되고, 가해자가 피해자로 전환되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디지털 성범죄는 SNS(41%), 사이트(19%), 메신저(16%) 순으로 유포됐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아이들, 성 관련 콘텐츠를 과자처럼 소비”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의 심각성이 커지면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대책이 속속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디지털 성범죄 시민 감시단’ 1천 명을 모집해 포털과 SNS의 불법 촬영물을 감시하도록 하고, 아울러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를 종합 대응하기 위해 내년도에 ‘서울시 디지털 성범죄 통합대응센터’ 설치를 추진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청소년들이 디지털 성범죄 가해자가 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청소년 디지털 성범죄를 막기 위해서 ▲ 유해 디지털 환경 규제 보완 및 강화 ▲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정보 문해력) 교육 강화 ▲ 청소년 이용자 다수 온라인 커뮤니티 자정작용 움직임 필요 등을 제언한다.

서민수 경찰인재개발원 교수는 <뉴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아이들에게는 ‘스낵 컬처(Snack Culture)’와 같은 빠른 소비가 익숙하다. 성범죄에 대한 깊은 고민과 연구 없이 성인 콘텐츠를 마트에서 과자 고르듯 빠르게 소비하는 환경에 익숙해있다”며 “오프라인 규제와 마찬가지로 온라인에서도 아이들이 접근하기 쉬운 공간에서는 성인물에 대한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아이들이 즐기는 콘텐츠는 아이들이 만들고 아이들이 소비한다. 여기에 교육적인 필터링이 작용됐으면 좋겠다. 무엇보다도 디지털 성범죄가 얼마나 나쁜지 아이들 스스로가 자정 하는 캠페인이 온라인상에서 만들어지는 게 필요하다”며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역시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