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농업단체가 농가경영 불안 해소를 위해 국산 농축산물 소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추석 명절을 앞두고 청탁금지법상 농축산물 선물가액을 인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21일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이하 ‘한종협’)는 성명문을 통해 “농업분야는 연초부터 잦은 자연재해로 그 어느 때보다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며 ▲ 냉해로 농작물 4만 4765ha ▲ 우박으로 농작물 5149.9ha, 농업시설 1.5ha ▲ 호우로 농작물 6만 1317ha, 가축 97만 마리 폐사 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농업 생산비 상승 역시 고질적인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종협은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지난해 농가가 영농에 투입한 농자재 421개 품목 가격을 종합한 농가구입자격지수는 125.2로 지난해보다 12.7%가 상승했다”며 “2016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한종협은 “과수·축산 품목의 경우 명절에 수요가 집중되는 만큼 시기를 놓치면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며 “국산 농축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해 선물가액 인상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라고 전했다.
이어 “한시적으로 선물가액 범위를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확대했던 2020년 추석 및 2021년 설, 농축산식품 선물 매출액이 전년 대비 각각 7%, 19% 증가했던 만큼 그 효과는 이미 검증됐다”며 “올해 추석의 경우 오는 9월 5일부터 선물가액 상향이 기존 가액의 2배이고, 기간은 명절 전후 30일까지 적용되는 만큼 신속히 시행령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