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해리 기자] 금융당국이 대규모 손실이 예상되는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에 대한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한다. 이를 통해 H지수 기반 ELS 관련 분쟁 조정과 판매사 검사·조치 등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22일 이세훈 금융위 사무처장 주재로 이 같은 내용의 'ELS 관련 합동점검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최근 지수 급락으로 투자자 피해가 우려되는 H지수 ELS 판매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투자자 손실 발생 가능성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이날 회의에서는 전 금융권의 H지수 기반 ELS 판매 현황이 점검됐다. 점검 결과 H지수 ELS는 주로 은행권 신탁(ELT) 또는 발행 증권사 직접판매(ELS) 등을 통해 개인투자자에게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권의 판매규모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11월 기준 H지수 ELS 총 판매잔액은 19조 3000억 원이었다. 이 중 15조 9000억 원(82.1%)이 은행에서 판매됐다.
문제가 되는 상품은 H지수가 고점이었던 2021년 초 이후 발행된 ELS다. 당시 H지수는 1만 2229포인트였으나, 이번 달 21일 기준으로 5620포인트로 급락한 상태다. 이에 따라 해당 ELS는 만기가 도래하는 2024년 초부터 대규모 투자자 손실이 예상된다.
금융당국은 H지수가 급락한 지난 2022년 4분기부터 투자자 손실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해 판매사(은행·증권사)에 고객 대응체계를 마련하라고 지도해왔다.
또 지난달부터는 12개 주요 판매사에 대한 현장·서면 조사를 실시해 ELS 판매 의사결정 프로세스, 인센티브 정책, 영업점 판매 프로세스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했다.
이와 함께 당국은 소비자 민원·분쟁조정, 판매 금융사 검사·조치에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금융감독원에 'H지수 ELS 대응 TF'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세훈 사무처장은 "H지수 기반 ELS와 관련해 금융시장에 불필요한 불안심리가 확산되지 않도록 시장과 소통하며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안내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향후 대응에 있어 투자자 자기책임 원칙이 훼손되지 않도록 유념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향후 금감원 검사 결과를 토대로 금융사의 위규 소지를 엄정히 파악하고 불완전판매 등이 확인되면 관련 법규에 따라 신속하고 합당한 피해 구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구제 절차 마련에 힘써달라"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제도 개선 방안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