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 주제 민생토론회 개최
“반도체 메가클러스터로 질 좋은 일자리 최소 3백만 개 창출”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 장안구 성균관대학교에서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 주제로 열린 세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도 수원 장안구 성균관대학교에서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 주제로 열린 세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마무리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민생토론회를 개최하고 반도체 선제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박정희 전 대통령과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회장을 선각자로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표적인 반도체 인력양성 교육기관 가운데 하나인 경기도 수원시 소재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반도체관에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세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했다. 경제정책 방향과 주택에 이은 세 번째 민생토론회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우리나라엔 정말 선각자들이 있었다”며 “박정희 대통령께서 돌아가시기 전 당시 서울시 1년 예산에 준하는 정도를 반도체 산업에 투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이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에 그 자금을 조성해 삼성 이병철 회장에게 반도체 사업을 시작하도록 밀어줬다”며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회장이 당시 일본이 고집적 회로가 칩으로 바뀌면서 미국으로부터 물량을 수주받아 생산하는 것을 보고 국운을 걸어야겠다고 시작해 많은 부침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반도체 산업은 어느 산업보다도 민생을 풍요롭게 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든다“며 ”반도체 공장을 세우면 설계·디자인·후공정 기업과 R&D 시설 등 반도체 생태계가 형성되고 인프라 등 수백만 개의 일자리가 생겨 전국 곳곳으로 온기가 퍼져나간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경기 남부를 관통하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에 총 622조 원이 넘는 투자로 일자리가 최소 3백만 개 새로 생긴다고 설명하고, 국가의 자원을 총력 투자해 반드시 성공시킬 것을 약속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이라는 주제로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전력·용수 등 기반 시설 투자에 대한 투자세액 공제 등 투자 인센티브를 보강하고 소부장·팹리스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연대를 통한 반도체 생태계 조성, 반도체 초격차 기술 확보, 우수 인재 양성과 해외 인재 유치 등 지원방안을 제시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반도체 전공 학생 20여 명을 포함해 이우경 ASML 코리아 사장 등 반도체 관련 기업 대표, 권석준 성균관대 화학공학 교수 등 학계, 이정현 KIST 선임연구원 등 연구원, 경기도 용인시 지역주민 등 국민 50여 명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등이,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상일 용인시장, 김경희 이천시장 등이, 대통령실에서는 이관섭 비서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박춘섭 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