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학대 피해를 당한 노인 중 10%가 재학대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노인들이 학대에 더욱 취약했다.
13일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는 오는 15일 '노인학대 예방의 날' 및 '세계 노인학대 인식의 날'을 맞아 노인학대 예방 및 근절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이 매년 6월 15일에 발표하는 '노인학대 현황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4년 노인학대 발생 건수는 3532건이었다. 10년 후인 2023년에는 7025건으로, 두 배나 증가했다.
인권위는 "통계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며, 수면 아래에 학대행위자 가족을 신고하지 못한 수많은 노인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노인학대는 일회성 폭력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외부의 개입이 어려워 은폐되는 경우가 많고 학대 행위자가 자신의 행위를 인식하지 못한 채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전체 노인학대 중 재학대 사례는 759건(10.8%)에 달하며, 특히 여성 학대피해 노인은 623명으로 성별에 따른 취약성이 심각한 심각하다고 인권위는 지적했다.
인권위는 "재학대는 단지 반복된 폭력 이상의 신호로, 돌봄의 공백과 제도의 한계를 보여준다"며 "학대를 인식하지 못한 채 지속되는 일상 속 폭력은 노인의 인권 사각지대를 드러낸다"고 말했다.
유엔 사회권위원회는 우리 정부에 노인학대의 구조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피해노인을 위한 전문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할 것을 지속적으로 권고해 왔다.
아울러 인권위도 2022년 12월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학대 피해 노인 누구나 심리 치료 등 지원을 받고, 재학대를 피할 수 있도록 전국에 '학대피해 노인 전용 쉼터'를 고르게 설치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인권위는 "노인이 존엄하게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은 우리 모두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일"이라며 "학대피해 노인의 인권 보호와 노인학대 예방을 위해 전국 마을 곳곳에서 묵묵히 애쓰는 노인보호 전문기관 사회복지사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와 응원의 인사를 보낸다"고 전했다.
이어 "우리 주변의 노인분들에게 인권의 눈과 감수성으로 따뜻한 관심 가져주시기를 당부한다"며 "함께하는 우리의 관심과 실천이 노인학대를 예방하고 인권 공동체를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