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 선별진료소서 신속항원검사 첫날
PCR 동시 검사 중 의료진 혼란 가중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전파력이 빠른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를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코로나19 검사 체계를 전환했다. 임시 선별진료소에서 고위험군 등을 제외한 일반 시민에게는 신속항원검사를 진행하기로 한 것. 하지만 시행 첫날 현장 의료진과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 모두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이어졌다.
3일 서울 구로구에 마련된 임시 선별진료소에서는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로 가득했다. 설 연휴가 끝나고 일상으로 복귀하려는 시민들이 영하를 맴도는 날씨에도 진료소 앞에서 길게 줄을 섰다.
검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뤄졌다. 결과가 30분 이내에 나오는 신속항원검사와 기존의 유전자 증폭(PCR) 검사 방식이다. 신속항원검사는 검사 속도가 빠른 대신 정확도가 PCR 검사보다 떨어진다. 이 때문에 PCR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이 신속항원검사자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앞서 방역 당국은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를 대응하기 위해 검사 체계를 전환한 바 있다. 임시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와 PCR검사를 이원화하는 체계가 이날부터 시작됐다.
새 검사 체계가 전환되면서 현장에서는 혼선이 발생했다. 의료진은 “오늘 첫날이라 지침이 위에서 내려오지 않았다”며 “원래는 규칙이 있는데, 공문이 제대로 내려오지 못해 오늘까지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PCR 검사를 원하는 시민들은 PCR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PCR 검사 우선순위 대상자는 코로나19 감염 취약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자, 의사 소견에 따라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는 자, 확진자와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자, 감염 취약시설 선제 검사 해당자, 신속항원검사 및 응급 선별검사 결과 양성이 나온 자 등이다. 고위험군이 아닌 사람은 신속항원검사로 빠르게 대응하려는 목적이다.
하지만 현장의 사정은 달랐다. 명확한 지침이 현장 의료진에 전달되지 않았고, PCR 우선순위 대상자를 일일이 가려내기 어려웠다. 결과적으로 신속항원검사보다 정확도가 높은 PCR 검사 수요가 훨씬 높았다. “1시간 넘게 기다렸는데 어떡하냐” 등 PCR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 사이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불만을 감당하는 것은 현장 의료진의 몫이었다.
PCR 검사 희망자가 많아 신속항원검사는 검사 결과 확인까지 1시간 이내에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 검사를 받은 후 외부에서 약 15분 대기하면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양성 판정을 받을 경우 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 음성 판정이 나오면 음성 확인서를 받는다. 확인서는 24시간이 경과한 날 자정까지 방역패스 역할을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