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국내에서 코로나19 신종 변이 바이러스 확진 환자가 확인돼 방역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켄타우로스 등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1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11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인천 거주 60대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한 결과 ‘켄타우로스’라고 불리는 BA.2.75 변이가 확인됐다. 해당 환자는 해외여행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 계통인 켄타우로스는 올해 5월 26일 인도에서 최초 확인됐다. 첫 환자 발견 이후 불과 한 달 만인 6월 27일 인도 내 점유율이 51.35%에 달할 만큼 빠르게 확산했다. 인도 외에도 영국, 미국, 캐나다,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호주, 일본, 네팔, 터키 등 10개국에서 119건이 확인됐다.

켄타우로스는 인체와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부위에 36개의 변이를 보유하고 있어서 면역 회피와 중증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BA.2의 스파이크 단백질 변이 수 28개 보다 8개나 더 많다. ‘켄타우로스’라는 별칭도 기존 바이러스와 특성이 다른 점에 착안해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반인반수 종족에서 따왔다. 

켄타우로스 변이의 등장으로 재유행의 속도와 규모는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일단 방역 당국은 변이의 확산과 중증도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향후 대응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질병관리청은 “BA.2.75 변이의 전파력 증가와 면역 회피 가능성이 예측됨에 따라 감시를 강화하고, 국내 발생 추이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