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편·감시 시스템 강화·업무 매뉴얼 개선 등
[뉴스포스트=이해리 기자] 최근 금융권에서 횡령과 이상 해외송금 등의 금융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미흡한 내부통제 시스템이 뭇매를 맞았다. 은행들은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내부통제 관련 조직을 개편하거나 감시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사고 재발 방지에 힘쓰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이 내부통제 실효성 개선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횡령과 관련해 직원 교육 강화부터 내부통제 관련 인력 확충, 업무 매뉴얼까지 개선해 나가고 있다.
우선 우리은행은 지난 7월 1일 조직개편을 실시하고 준법감시실을 재편했다. 기존 내부통제점검팀, 컨설팅팀, 상시감시모니터링팀 등 3개 팀을 내부통제기획팀, 법규준수모니터링팀, 영업조직모니터링팀, 본부조직모니터링팀 등 4팀으로 재편했다. 이 중 영업조직팀과 본부조직모니터링팀에는 소속장급을 배치했다. 각 팀들은 주기적으로 내부통제 활동에 대한 적정성을 검증한다.
외환업무 모니터링 강화를 위해 외환업무센터에 ‘외환모니터링팀’도 신설했다. 외환모니터링팀은 이상거래를 조기 발견하기 위해 영업점의 외화 송금 거래를 전담 모니터링한다.
이외에도 우리은행은 수출입과 관련해 최초로 거래할 경우 자본금 규모에 상관없이 여신거래처와 함께 현장 방문을 실시한다. 또 지급신청서와 영수확인서 등 서류 보관 의무를 강화하고, 전산화를 추진해 하반기에는 ‘스캔 보관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외환세이프(Safe)모니터링팀을 신설해, 특정 이상거래 유형으로 분류된 거래는 외환세이프모니터링팀의 점검을 거쳐야 영업점에서 거래가 가능하도록 했다.
외환 이상거래 모니터링 협의회도 운영한다. 이상거래 관련 블랙리스트를 선정하고 관리해 전산에 등록하며, 등록된 블랙리스트는 거래가 차단된다. 외환 관련 내부통제 강화 방안도 지속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하나은행은 내부통제와 관련해 부서별 직무분리 대상 업무 재점검 후 직무분리 업무를 확대하고 내규를 정비했다. 또 자금 집행 등 고위험 업무에 대해 필수 명령 휴가 대상자를 선정하고, 불시 명령휴가를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전 직원 실시간 양방향 화상회의 및 교육 실시, 영업점 포함 전 본부부서 내부통제 기준 및 절차 (재)점검, 영업점 불시 시재감사를 진행한다.
외화 송금과 관련해선 본점 외환부서 내 2차 스크리닝팀을 운영한다. 2차 스크리닝팀은 영업점 외화송금건의 적정성을 점검한다. 또한 특정유형 송금 시 영업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국환거래법 위반 방지 위해 전산 체크박스 도입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무역기반 이상거래(TBML) 방지를 위해 수출입 거래에 적용 중인 트레이드 워치(Trade Watch) 시스템을 4분기 중 전체 송금방식 거래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NH농협은행은 8월 외환 점검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해 일정 금액을 넘기거나 최초 송금 거래는 외환지원센터만 처리할 수 있도록 업무를 개선했다.
이외에도 은행들은 범죄와의 개연성이 최대한 없어지도록 업무 과정을 시스템화하고 직원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금융당국의 내부통제 개선 작업에도 적극 협조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근본적으로는 당국의 거래법 규정 강화 등의 조치가 선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은행은 단순히 송금을 대행해주는 역할로 은행의 시스템 강화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모든 근거는 법과 규정이 있어야 하므로 외화 거래법 규정을 손보는 등 당국의 확실한 가이드라인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