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플 “수주형 사업 사업구조 고도화로 하반기 흑자 기대”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LG디스플레이가 26일 매출 4조 4111억 원, 영업손실 1조 984억 원의 2023년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당기순손실은 1조 1531억 원, EBITDA는 802억 원 손실을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는 TV와 IT 제품 중심의 수요 부진과 전방 산업의 강도 높은 재고 조정,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인한 제품 출하와 매출 감소를 경영실적 부진의 이유로 분석했다. 또 사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LCD TV 사업의 축소도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매출 감소에 대비한 선제적 재고 감축 및 대형 사업 운영 합리화, 원가 혁신 등 고강도 비용 감축을 통해 손익 변동폭은 상대적으로 축소됐다. 매출 기준 1분기 제품별 판매 비중은 △TV용 패널 19% △IT용 패널(모니터, 노트북PC, 태블릿 등) 38%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32% △차량용 패널 11% 등이다.
LG디스플레이는 고객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물동과 가격을 안정적으로 운영해 나갈 수 있는 ‘수주형 사업’ 중심의 사업구조 고도화를 지속 추진하며, 차별화 경쟁력 강화 및 미래 준비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의 수주형 사업의 전사 매출 비중은 올해 40%대 초반까지 늘었고, 향후 2~3년 이내에 70%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추가 양산 예정인 고부가가치 모바일 제품 출하를 확대해 나가는 한편,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수주와 매출 성장을 통해 세계 1등 업체의 위상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현재 투자가 진행 중인 태블릿 PC용 OLED 등 중형 OLED 부문에서는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오는 2024년 양산에 돌입하겠다는 복안이다.
LG디스플레이는 장기적으로 시장 변동성의 영향이 큰 수급형 사업은 고부가가치 분야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대형 OLED는 휘도, 소비전력 등 근본 경쟁력을 강화한 차별화 제품의 라인업 확대와 원가 혁신을 통해 프리미엄 TV 시장 내 입지를 지속 강화해 나가고, 투명과 게이밍 OLED 등 시장창출형 사업 추진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CFO는 “전방 산업의 실판매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당분간 패널 수요가 세트 판매를 하회하는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상반기를 저점으로 하반기부터는 산업 생태계 전반의 재고건전성 회복에 따른 패널 구매 수요 증가 및 모바일 제품 출하 증가 등 수주형 사업 성과 확대로 하반기 중 흑자 전환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