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경량·고성능 SAR 군집위성 개발 본격화
한반도 전천후 감시·관측하는 ‘우주의 눈’ 역할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한화시스템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초소형 SAR 위성 개발에 나선다. 소형과 경량, 고성능 등이 특징인 SAR 위성은 ‘우주의 눈’으로 불리는 국가기간 위성으로 역할을 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국방과학연구소와 679억 원 규모의 ‘초소형위성체계개발사업’ SAR 검증위성 1기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초소형위성체계개발사업’은 SAR검증위성을 개발하고 입증 한 후 양산을 통해 SAR 군집위성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실제 ‘우주궤도 시험’을 실시해 한반도 전역과 주변 해역의 준(準)실시간 감시·관측을 위한 소형·경량·고성능 SAR 군집위성을 개발해 내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SAR 군집위성’ 개발이 완료되면 한반도 위기징후와 재난위협을 빈틈없이 탐지하는 ‘우주의 눈’ 역할을 하게 된다.
한화시스템은 본 사업을 통해 2027년 6월까지 △각 위성 구성품의 기능을 검증하는 EM △ 각 위성 구성품의 발사환경 및 우주환경 인증을 위한 QM △각 구성품 간 연동 시 기능 검증을 위한 ETB △위성체 구조물 내에서 각 구성품 기능 검증을 위한 STM △실제 우주로 발사할 초소형 SAR위성의 FM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한화시스템은 전자광학(EO)·적외선(IR) 및 고성능영상레이다(SAR) 탑재체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현재 군사용 정찰위성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SAR센서’와 ‘데이터링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독자적인 우주 전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정호 한화시스템 항공·우주부문 사업대표는 “민간 우주시대가 본격화됨에 따라 초소형 SAR위성은 안보 자산으로써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며 “한화시스템은 국내 유일의 SAR플랫폼 기술 역량과 경험을 통해 SAR검증위성 개발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도 국방과학연구소(ADD)와 670억 원 규모의 ‘초소형위성체계 SAR검증위성(K모델)’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계약 기간은 2027년 6월까지다. 이 기간 위성 개발 및 발사, 우주 공간 내 임무 수행 테스트 등을 진행한다.
KAI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존 중·대형 중심의 위성 포트폴리오를 초소형까지 확대하고 위성 양산 인프라를 기반으로 뉴스페이스의 핵심인 위성 수출 산업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KAI는 지난 30년간 △다목적 실용위성 △정지궤도위성 △차세대 중형위성 등 중·대형 위성개발 사업에 참여해 왔다. 지난 2018년에는 위성 설계, 제작, 시험 등 모든 과정을 한 곳에서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최대 민간 우주센터를 구축했다. 또 중대형 위성 6~8기, 초소형위성 20기 이상을 양산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춘 상태다.
KAI는 항공기 수출 마케팅 노하우와 전 세계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해 항공기와 다양한 위성 플랫폼을 연계한 패키지 수출도 추진하고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위성 서비스 시장으로의 진출도 준비 중이다.
이창한 KAI 우주시스템연구실장은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치면, 중·대형위성과 초소형위성의 개발, 발사에 대한 우주사업 헤리티지를 보유하게 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 우주시장에서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