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시간 4일 獨 뮌헨서 프레스 콘퍼런스 개최
전장사업 3대축 SW 중심 차량(SDV) 진화 가속

조주완 LG전자 사장이 4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3'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미래 모빌리티 고객경험 테마 'Alpha-able'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조주완 LG전자 사장이 4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3' 프레스 콘퍼런스에서 미래 모빌리티 고객경험 테마 'Alpha-able'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LG전자가 가전 사업에서 쌓은 고객경험 노하우를 모빌리티 영역으로 확대해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전반의 변화를 이끌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LG전자는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IAA 모빌리티 2023' 개막에 앞서 4일(현지시간) 글로벌 미디어 및 거래선 1000명이 참석한 가운데 프레스 콘퍼런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LG전자가 국제 모터쇼에서 프레스 콘퍼런스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사로 나선 조주완 LG전자 사장은 'Taking Life’s Good on the Road'를 주제로 LG전자가 바라보는 모빌리티 산업과 미래 비전 등을 소개했다.

LG전자는 지난 7월 고객경험을 다양한 영역으로 연결·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의 도약을 선언했다. 이날 LG전자는 'UP가전 2.0'의 후속 청사진으로, 전장사업 분야에서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고객경험 청사진을 제시했다.

조주완 사장은 "오랜 기간 가전과 IT 사업을 통해 쌓아온 고객경험 노하우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제시하고자 한다"며 "이 여정에 업계 리더들이 동참해 성장 가능성을 함께 높여가자"고 제안했다.

조 사장의 이 같은 자신감의 배경에는 70년 가까이 가전 사업을 영위하며 수용자의 생활공간을 차량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 도로 위에서 보내는 삶의 순간을 더욱 가치 있게 만드는 차별화된 모빌리티 경험을 LG전자가 선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LG전자 2013년 출범한 VS사업본부는 지난 10년간의 지속적인 투자와 사업 고도화를 통해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레티지 애널리틱스 발표자료를 토대로 한 자체 추정치에 따르면 LG전자 텔레매틱스는 지난해 기준 글로벌 점유율 1위(23.3%)를 차지했다. AVN(오디오·비디오·내비게이션) 영역에서도 2021년부터 두 자릿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완성차 업체에 제품과 서비스의 차별성을 인정받으며 만들어 낸 결과물이기도 하다.

LG전자는 롤러블, 플렉서블, 투명 등 다양한 폼팩터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혁신기술과 독보적인 가전 기술 및 솔루션을 활용해 자동차를 독창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가변 공간을 만들어 낸다는 구상이다. 자동차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여정의 맥락을 이해하고 목적지와 이동 시간을 정확히 파악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빌리티로 거듭나는 데 대비하겠다는 복안이다.

LG전자 전장사업은 미래 모빌리티 시대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VS사업본부) △전기차 파워트레인(LG마그나) △차량용 조명 시스템(ZKW) 등 3대 축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지난해 LG전자는 전기차 충전기 핵심기술을 보유한 하이비차저(HiEV Charger)를 인수하기도 했다. 차량과 차량 외적인 영역을 아우르는 최적의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전략이다. 향후 고속 성장이 기대되는 그룹 내 배터리 사업과도 높은 시너지가 기대된다.

조주완 사장은 "LG전자는 항상 고객을 이해하고 차별화된 제품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DNA를 갖고 있다"며 "고객 중심의 경험을 제공하는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여정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