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8일 오후 고양시 행신역에서 철도노조 관계자들이 수서행 KTX 편성을 촉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포스트 이상진 기자)
지난달 8일 오후 고양시 행신역에서 철도노조 관계자들이 수서행 KTX 편성을 촉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포스트 이상진 기자)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14일로 예정된 철도노조의 1차 총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체제에 돌입했다. 코레일은 철도노조와 마지막까지 대화를 이어간다는 방침이지만, 타협점을 찾기가 어려워 2차 파업 가능성도 커지는 상황이다.

코레일은 철도노조가 14일 오전 9시부터 18일 오전 9시까지 총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열차 안전 운행과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비상수송체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코레일은 부사장을 중심으로 철도 파업에 대비한 24시간 비상대책본부를 운영하는 파업 대응 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또 코레일은 가용 자원을 모두 동원해 이용객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용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 수도권전철과 장거리 위주 KTX에는 운전경력이 있는 내부 직원과 군인력 등 동원 가능한 자원을 우선적으로 투입해 열차운행 횟수를 최대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철도노조의 파업 예고 기간 중 열차 종류별 평시 대비 운행률은 △수도권전철 평시 대비 75%(출근시간대는 90% 이상) △KTX 68% △새마을호 58% △무궁화호 63% 등으로 줄어든다. 특히 화물열차는 코레일 내부 대체 기관사를 투입해 평시 대비 27%를 유지하고, 수출입 화물과 산업 필수품 등 긴급 화물 위주의 수송이 이뤄진다.

코레일에 따르면, 파업 시 운용 인력은 필수유지인력 9795명, 대체인력 4962명 등 총 1만 4757명이다. 이는 평시 인력의 61.2% 수준이다.

이날 코레일은 철도노조의 1차 총파업에 대해 "명절을 앞두고 국민을 불안케 하는 파업을 즉시 철회하라"고 재차 촉구했다. 이어 "이는 노동조합이 주장해온 국민 편익 증진 및 공공성 확대에도 역행하므로 노동조합의 현명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코레일은 "철도노조의 수서행 KTX 운행 요구 등은 정부의 정책사항으로 노사교섭이나 파업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다시금 밝혔다.

노조와의 소통에 대해 한문희 코레일 사장은 "마지막 순간까지 노사 간 대화와 협상을 통해 사태가 해결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철도노조는 지난 7일 입장문을 내고 14일부터 18일까지 1차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날 철도노조는 국토부와 코레일에 △수서행 KTX 편성 △성실한 임금교섭 및 합의이행 △4조2교대 시행 등 요구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