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 오전 경기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 공장 아리셀 건물 화재 현장에서 국과수 합동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지난달 25일 오전 경기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 공장 아리셀 건물 화재 현장에서 국과수 합동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정부가 제2의 '화성 참사'를 예방하기 위해 전지 취급 사업장에 대한 긴급 안전 지원조치를 시행한다.

18일 고용노동부는 전지 취급 사업장 등의 화재사고 예방을 위해 '긴급 안전 지원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먼저 5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배터리 화재용 소화기 등 소화설비 및 경보·대피설비 구입 비용을 긴급 지원한다. 일반소화기로는 진화가 어려운 위험물질을 제조·취급하는 사업장에서 적정한 소화설비 등을 구비할 때 필요한 비용을 긴급하게 지원하는 것이다.

지원대상은 50인 미만 사업장 또는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소기업 중 리튬 등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대상물질 제조·취급 사업장, 1·2차 전지 관련 사업장 등이다. 사업장당 최대 3천만 원까지 70% 범위에서 지원한다. 이날부터 오는 31일까지 신청을 접수받는다.

아울러 16개국 언어로 번역된 화재 발생 시 행동요령 포스터, 비상구· 화기금지 등 안전보건표지 스티커를 외국인 고용 사업장에 신속히 배포한다.

외국인 근로자 등이 화재 발생 시 행동요령을 평소에 숙지하고,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쉽게 직관적으로 비상구 등을 찾아 대피할 수 있도록 6종의 안전보건표지를 스티커 형태로 제작했다. 16개국 언어로 번역된 주요 안전보건표지 안내, 화재 발생 시 행동요령 포스터를 사업장에 배포한다.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입국 후 2박 3일 취업교육과정에 화재 등 재난 상황에 대비한 소방대피훈련을 포함한다. 실제 상황을 가정한 소방대피훈련으로서 위험 상황에 대한 외국인 근로자들의 대응능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 안전보건교육을 확대하는 방안도 '외국인 근로자 산업안전 강화 대책'에 포함해 발표할 계획이다.

이정식 장관은 "전지 사업장에서는 안전을 재점검해 비상구의 설치·유지, 적정 소화설비 구비, 안전보건표지 부착, 외국인을 포함한 모든 근로자에 대한 현장성 높은 안전보건교육 등 시급한 과제들을 우선해 실천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