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전국 1300개 이상의 의원급 산부인과 중 88.4%가 올해 분만을 통한 수가 청구를 하지 않았다. 산부인과 의원 10개소 중 9개소는 전혀 분만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산모와 태아의 생명과 건강에 위협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산부인과 인프라 붕괴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9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산부인과의원 중 분만수가가 청구되지 않은 의료기관 비율은 88.4%로, 지난 2018년과 비교해 6.2% 포인트 늘었다.

올해 7월까지 분만수가 청구가 월평균 1건도 되지 않는 지방자치단체도 10곳이다. 구체적으로 대구 서구, 경기 안양만안구, 강원 영월 및 태백, 전라북도 고창군 및 김제, 전라남도 고흥군 및 완도군, 경상북도 포항 남구, 경상남도 하동군이다. 특히 광주와 전남에서는 2022년 이후 분만수가를 청구한 산부인과 의원이 전무했다.

아울러 종합병원 331개소의 11.5%가 산부인과가 설치되지 않았다. 의료법상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하인 경우에는 내과·외과·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중 3개 진료과목이 있어야 하는데, 산부인과를 기피하는 종합병원이 10%를 넘고 있다.

분만 의료기관 수는 2018년 555개소에서 올해 425개소로 130개소가 줄었다. 세종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분만 의료기관 수가 줄고 있다.

박 의원은 "저출생은 물론 산부인과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 부족으로 산부인과 의사와 분만 의료기관이 줄고 있다. 안정적인 출산 환경 조성과 응급상황 대처를 위해 지역별 분만 인프라가 유지·확충돼야 한다"며 "새로운 분만기관 신설도 중요하지만 기존 의료기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이 긴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