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가격 하락·파운드리 적자 기조 등 다운사이클 우려
웨이퍼 줄이는 감산·해외 계열사 인원 감축 등 가능성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의 전경. 왼쪽부터 순서대로 평택 1캠퍼스(P1), 2캠퍼스(P2)가 자리하고 있다. [출처=삼성전자[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의 전경. 왼쪽부터 순서대로 평택 1캠퍼스(P1), 2캠퍼스(P2)가 자리하고 있다. [출처=삼성전자[

[뉴스포스트=최종원 기자] 삼성전자가 업황 부진 우려로 웨이퍼 투입량을 줄이는 감산 기조를 하반기에도 이어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해외 사업장 인원 감축 가능성도 제기되는 가운데, 인위적 감산을 기피한 과거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선제 대응하는 것이라는 시각이 제기된다.

4일 올해 PC와 스마트폰 등 IT 수요 침체와 글로벌 경기침체 공포 우려로 D램·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하락세다.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 제품(DDR4 8Gb 1Gx8)의 평균 고정 거래가격은 지난달 1.7달러로 전월 대비 17.07% 하락했다. 8월 거래가격도 2.05달러로 전월 대비 2.38% 떨어진 만큼 하락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의 지난달 평균 고정거래가격도 4.34달러로 전월 대비 11.44% 하락했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의 적자 행진도 이어질 전망이다.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부는 매년 조 단위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증권가는 올해 3분기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사업에서 4000억~5000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리스크 확대로 증권가는 삼성전자의 실적 전망치를 낮추고 있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11조2313억원이다. 이는 한달 전(13조6606억원) 전망치보다 17.8% 줄어든 수치다.

삼성 QLC 9세대 V낸드. (사진=삼성전자)
삼성 QLC 9세대 V낸드. (사진=삼성전자)

이처럼 실적 전망에 먹구름이 끼면서 삼성전자가 감산을 지속할 수 있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삼성전자는 상반기까지 웨이퍼 투입량을 줄여 메모리 출하량을 축소하는 감산 기조를 유지해왔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재고가 급격히 쌓이는데 가격도 하락하면 손실이 급격하게 불어나는데, 공급량까지 늘리게 되면 (손실이) 돌이킬 수 없는 수준까지 오게 된다"며 "가격 하락 추세가 지속되면 (삼성전자가) 감산 기조를 계속 이어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감원 가능성도 제기된다. 외신들은 일제히 삼성전자 인원 감축 가능성을 보도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달 보도를 통해 삼성전자가 올해 연말까지 해외 자회사 영업 및 마케팅 직원의 15%, 관리직의 30%를 감축할 것으로 전망했다. 

블룸버그통신도 1일(현지시간) 삼성전자가 글로벌 자회사 인력 감축을 위해 동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등 지역 인력의 약 10%를 정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통신은 삼성전자가 이미 인도와 남미 일부 지역에서 인력의 10%를 감원했고, 전체 해외 인력 14만여명 중 약 10% 미만의 추가 인력 감축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삼성전자가 강도 높은 리스크 대응에 나서는 데에는 인위적 감산을 주저했던 과거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은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온다. 2022년 하반기 메모리 가격이 크게 하락하자 반도체 업계는 웨이퍼 투입량을 줄이는 감산에 돌입으나, 삼성전자는 '인위적 감산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한 바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감산을 하는 건 25년 만의 일이라 당시 회사 내부에선 보수적 입장을 고수했고, 기술 초격차 유지를 위해서라도 감산을 꺼리는 분위기였다"라며 "이후 메모리 수요가 크게 줄고 고객사들이 재고 조정에 나서자 삼성전자는 이듬해 1월 메모리 생산량을 줄이는 감산 계획을 밝혔다"고 전했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출입문 입구. (사진=뉴시스)
삼성전자 서초사옥 출입문 입구. (사진=뉴시스)

비상경영 일환으로 삼성전자는 올해 상반기 임원 대상 주 6일제를 공식화했다. 일부 사업부를 중심으로 임원 출장을 줄이고, 소모품 절약 및 행사 축소 등 비용 절감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오는 12월 개최 예정이던 '반도체 50주년' 행사도 전면 검토 이후 백지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