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철강 부문 영업이익 4380억원·전년 比 39% 감소
중국발 저가 철강 강타에 속수무책… 건설 경기 침체 겹쳐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등 'ESG' 강화… 공시 의무화 '유예' 호소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전경. (사진=포스코홀딩스)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전경. (사진=포스코홀딩스) 

[뉴스포스트=최종원 기자] 국내 철강업계가 중국 수요 부진과 건설 경기 악화 등 여파로 힘겨운 겨울을 준비하고 있다. 철강업계 1위 포스코마저 영업이익이 크게 떨어진 가운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구축에 대한 목소리도 커지는 상황이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정보시스템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3분기 매출액 18조3210억원, 영업이익 743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 37% 하락했다.

철강 사업을 영위하는 포스코의 영업이익은 4380억원으로 전년 대비 3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포스코홀딩스 측은 "중국 철강 수요 부진과 가격 하락 영향으로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수익이 감소했다"며 "영업이익도 전 분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중국發 저가 철강 강타… 건설 경기 침체까지 겹쳐  


장인화 포스코그룹 대표이사 회장이 지난 6월 27일 포항제철소 4고로 풍구에 화입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장인화 포스코그룹 대표이사 회장이 지난 6월 27일 포항제철소 4고로 풍구에 화입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국내 철강 업계 큰 손인 중국의 철강 수요는 코로나19 이후 4년 째 곤두박질치고 있다. 특히 시진핑 국가 주석이 2020년 9월 탄소중립(온실가스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선언한 이래 철강 생산규모를 줄여 원료 수입과 강재 수출도 줄이는 등 사업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중국산 저가 철강 또한 국내에 수입되면서 수익성을 악화시키고 있다. 중국은 부동산 경기 침체 이후 철강을 해외에 싸게 팔면서 미국, 유럽 철강 회사들은 반덤핑 제소한 것으로 알려진다. 포스코홀딩스 측도 "불공정 무역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국내 건설 경기 침체도 영향을 주고 있다. 건설 업황이 악화되면 건물 구축에 쓰이는 철근 등 철강재 판매가 줄어든다. 수익성 개선을 위해 판매가격 인상을 검토할 수 있지만, 국제 철광석 가격이 톤당 90달러 밑으로 하락하는 등 원자재 값은 떨어지고 있어 고객사들의 저항을 불러올 수 밖에 없다.

포스코홀딩스 측은 실제로 지난 30일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조선사와 4분기 가격 협의를 지금 시작한 단계"라며 "중국 부양책에 따라 (가격) 인상을 시도하고 있는데, 고객사들의 저항이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포스코는 위기 타개를 위해 불확실성이 큰 중국 대신 인도에 투자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인도 최대 철강사 JSW그룹과 합작 방식으로 인도에 일관제철소를 준공하는 등 공급망을 강화해 성장하는 인도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복안이다. 중국과 달리 공급 과잉 위험도 적은 편이다.


수소환원제출 등 ESG 동참… 공시 의무화는 '유예' 호소


포스코그룹 수소사업 비전 및 로드맵. (사진=포스코 뉴스룸)
포스코그룹 수소사업 비전 및 로드맵. (사진=포스코 뉴스룸)

탄소 감축 등 ESG 경영 구축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포스코는 2020년 '2050 탄소중립'을 선언한 이래 탄소배출 없이 철을 생산할 수 있는 '수소환원제철' 상용화에도 나서고 있다. 고로와 전로 등의 기존 설비를 활용해 저탄소 철강 제품을 생산하는 '브릿지 기술' 연구에도 한창이다.

다만 ESG 공시 의무화 시기는 사실상 유예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의무화 시기를 전임 정부보다 1년 늦은 2026년 이후로 미룬 바 있다. 유럽연합(EU)은 내년부터 대기업에 ESG 공시를 의무화하고 미국도 2026년부터 모든 상장기업에 기후 관련 정보 공시를 의무화할 방침이다.

허재용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한국이 가지고 있는 산업 특성상 수출 경쟁력이 큰 타격을 입을 만한 요소가 있고, 다른 나라가 하니깐 우리가 따라가는 점인가와 일찍 선언해야 한다는 점에 의해 매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 연구원은 또 "EU CBAM(탄소국경조정제도)의 경우에도 대응을 잘하는 기업도 있겠지만 중견기업이나 중소기업이 이에 대응할 수 있을까라는 우려도 있다"며 "명확한 규칙은 없는데 꼭 해야 하는 것이 되지 않도록 (의무화 시기) 속도를 조절해야 할 필요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