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선초롱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국내 최초로 해외 곡물 수출터미널을 운영하게 됐다. 최정우 포스코 회장의 100대 과제 가운데 하나인 국가 식량안보가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터미널 준공으로 결실을 맺음 셈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5일 우크라이나 미콜라이프에서 김영상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과 유리 부드닉 오렉심 그룹 회장, 권기창 주 우크라이나 대사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터미널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남부 흑해 최대 수출항 중 하나인 미콜라이프 항에 위치한 우크라이나 곡물터미널은 밀, 옥수수, 대두 등 연간 250만 톤 규모의 곡물 출하가 가능한 터미널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운영권자로서 지분 75%를 확보했다.
우크라이나는 주요 곡물의 5대 수출국이자 세계적 곡창지대로, 곡물 생산량은 2007년 4,000만 톤에서 2017년 7,700만 톤으로 약 2배 늘었고, 수출량은 같은 기간 850만 톤에서 4,300만 톤으로 약 5배 증가했다. 특히 전체 곡물 수출량의 약 90%가 흑해 항만을 통해 수출되고 있으며, 이중 최대 물량인 22.3%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곡물 수출터미널이 위치한 미콜라이프 항에서 수출되고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터미널의 현지 파트너사인 오렉심 그룹은 우크라이나 해바라기씨유 수출 분야에서 선적 점유율 30%를 차지하는 1위 기업으로, 현재 미콜라이프항에 식용유지 전용 터미널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하역업, 물류업을 영위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번 곡물 수출터미널 준공을 통해 우크라이나 생산 곡물의 수매, 검사, 저장, 선적에 이르는 단계별 물류 제어가 가능해졌다. 또한 흑해의 곡물조달 조기 물량 확보로 아시아와 북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의 연계 수요를 개발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아울러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곡물 트레이딩뿐 아니라, 투자를 통한 식량인프라 구축으로 농장형-가공형-유통형으로 이어지는 밸류체인 확장을 통해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터미널을 바탕으로, 2023년까지 곡물 1000만t 체제를 구축해 글로벌 곡물트레이더로 성장하겠다"며 "철강, 에너지 사업과 함께 회사의 지속가능한 미래 핵심사업으로 식량사업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상 사장은 기념사를 통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한국 최대의 식량자원 기업을 목표로 식량사업 밸류체인을 확장해 가고 있으며, 그 중심에 우크라이나 곡물수출 터미널이 있다"며 "세계적인 곡물시장인 우크라이나와의 사업 협력은 '대한민국 식량안보 구축'과 포스코그룹 100대 과제 달성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