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김혜선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난 4~6월 근로·사업·재산소득이 모두 감소하는 첫 ‘트리플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전체 가계 소득과 소득분배율은 개선됐는데, 긴급 재난지원금의 영향으로 공적이전소득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그래픽=뉴스포스트)
(그래픽=뉴스포스트)

지난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월평균 가구소득은 527만2000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수치다.

하지만 세부 지표를 살펴보면 근로·사업·재산소득이 모두 감소했다. 근로소득은 322만 원으로 5.3%가 하락했고, 사업소득과 재산소득도 각 4.6%(94만2000원), 11.7%(3만4000원)이 감소했다. 이런 ‘트리플 감소’는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후 모든 분기를 통틀어 이번이 처음이다.

반면 이전소득에서 전년동기 대비 80.8%가 증가하며 전체적인 가구소득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사적이전소득은 2.1% 증가로 미미했지만 긴급 재난지원금을 포함하는 공적이전 소득은 127.9%가 증가했다.

소비지출의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집콕족’이 늘면서 식료품과 가정용품 등 소비가 늘었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91만2000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2.7% 증가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45만4000원으로 전년 동분기보다 20.1% 증가했고,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도 18만원으로 21.4% 증가했다. 가구 및 조명(36.2%), 가전·가정용 기기(13.5%) 지출도 늘었다. 보건 지출은 25만3000원으로 21.4% 늘었고 마스크 등 의료용 소모품 지출은 240%로 폭증했다.

반면 자녀 학원비 등 교육 지출이 눈에 띄게 줄었다. 교육 지출은 16만8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9.4% 감소했고, 오락·문화 지출은 17만4000원으로 21%, 단체여행비와 문화서비스 지출이 각각 92.7%, 13.7% 감소했다. 의류·신발 지출도 16만9000원으로 5.8% 줄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