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선초롱 기자] 문재인 정권 출범 이래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성동구의 3.3㎡당 아파트값이 2000만 원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부동산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강남구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이 지난 2017년 5월 4397만 원 수준에서 올해 11월 7221만 원으로 2821만 원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 가장 많이 오른 곳이다.
우선 강남구 도곡동 ‘도곡렉슬’ 전용면적 84㎡는 2017년 5월 13억3900만 원(8층)에 거래됐으나, 올해 11월 28억5000만 원(6층)에 계약이 체결돼 두 배 넘게 상승했다.
또 강남구 대치동 ‘대치아이파크’ 전용면적 119㎡는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17억4800만 원(20층)에 매매됐지만, 올해 11월 32억9500만 원(16층)에 거래돼 15억4700만 원 올랐다. 상승률은 88.5%에 달한다.
같은 기간 강남구 역삼동 ‘개나리SK뷰’ 전용면적 127㎡도 17억(21층)에서 32억(14층)으로 15억 원 오르며 88.2%의 상승률을 보였다.
강남구에 이어 송파구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2870만 원 수준이던 서초구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올해 11월 5091만 원으로 2222만 원 올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도 서울 아파트 가격이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문재인 정부 들어 아파트 평균 매맷값이 큰 폭으로 오른 곳은 강남 3구”라며 “다주택자에 대한 세 부담이 커지면서 수요가 똘똘한 한 채로 몰리고 있고, 특히 강남의 경우 교육과 기업, 생활인프라 등이 집약돼 있고 다른 지역보다 탄탄한 수요가 뒷받침되기 때문에 경기 상황에 따라 일시적인 조정은 있어도 결국 우상향 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