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김혜선 기자] 국제 백신 공동기구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의 백신 일부가 이르면 2월 초 국내 도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아직 코백스 측에서 어떤 백신이 들어올지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에는 원하는 백신을 선택하는 식으로 계약된다.
20일 질병관리청 국제협력과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코백스 퍼실리티와 백신 계약은 코백스 측이 주는 대로 받는 방식과, 제안한 것 중 원하는 백신을 선택하는 식으로 진행된다”며 “우리나라는 후자의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코백스 백신 물량 초도물량이 2월에 도착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우리나라는 각 제약사와의 계약과 별도로 백신 국제기구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1천만 명 분의 백신을 공급받기로 했다.
정 총리는 “1천만명 분 중 초도 물량이 2월에 도착할 가능성이 있다”며 “(코백스에서 초도물량을) 2월 초에 받겠냐는 연락이 와 받겠다고 답변하고 지금 준비중”이라고 말했다. 초도 물량은 5만 명 분(10만 도즈)지만, 확정은 아니라는 게 정 총리의 설명이다.
코백스를 통해 어떤 백신이 들어올 지도 확정되지 않았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코백스 측과 백신 계약을 논의하며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사노피 등 3가지 종류의 백신을 제안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질병청 관계자는 “코백스에서도 다양한 백신을 확보 중이어서, 어떤 백신을 제안할지 모르는 상황”이라며 “아직 협의 중이라 초도 물량 도입, 백신 종류 등 결정된 사안이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