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새 정부가 첫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코로나19 확진 환자의 격리 의무 해제 시기 등과 관련한 논의가 이어졌다.

11일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1일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11일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지난달 25일부터 시작된 4주간의 이행기를 전문가들과 면밀히 살피고 평가하겠다”며 “다음 주에 종합적인 평가를 거친 후 안착기 진입 시점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지난달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2급으로 하향하는 내용의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 달간 이행기를 거치고 있다. 새 정부는 포스트 오미크론 안착기에 진입 후 코로나19 확진자의 의무 격리를 해지할 것인지 논의한다.

이번 중대본 회의는 새 정부 들어 첫 번째 회의다. 방역 당국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산하 코로나19 비상대응특별위원회가 발표했던 ‘코로나19 비상대응 100일 로드맵’도 논의했다.

이 차관은 “새 정부 출범 100일 내에 과학적이고 지속 가능한 코로나 대응체계를 재정립하겠다”며 “다시 찾아올 수 있는 코로나 재유행에도 철저하게 대비토록 하겠다. 로드맵 과제들을 충실히 이행해 신뢰받는 방역당국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100일 로드맵에는 ▲ 전국 1만 명 규모의 항체 양성률 조사 분기별 시행 ▲ 일반 의료체계 전환 등 지속 가능한 감염병 대응체계 확립 ▲ 고위험군 패스트트랙 등 취약계층 보호 ▲ 백신 이상반응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충분한 치료제 조기 확보 및 처방 확대 등이 담겼다.

한편 코로나19 고위험군인 60대 이상 고령층에 4차 접종에 적극 참여도 강조했다. 이 차관은 “지난주 확진자 중 60대 이상이 22%를, 전체 사망자 중 91.1%를 차지하고 있다”며 “60대 이상 미접종자와 1차 접종자가 4%에 불과하지만 사망의 36.1%를 차지하고 있다. 예방접종의 효과를 다시 한번 확인해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고령층을 대상으로 4차 접종을 시행하고 있다”며 “고령층의 적극 참여를 요청드리며, 자녀들과 지방자치단체는 고령층이 편리하게 접종받을 수 있도록 적극 도와달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