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새 정부가 첫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코로나19 확진 환자의 격리 의무 해제 시기 등과 관련한 논의가 이어졌다.
11일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지난달 25일부터 시작된 4주간의 이행기를 전문가들과 면밀히 살피고 평가하겠다”며 “다음 주에 종합적인 평가를 거친 후 안착기 진입 시점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지난달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2급으로 하향하는 내용의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 달간 이행기를 거치고 있다. 새 정부는 포스트 오미크론 안착기에 진입 후 코로나19 확진자의 의무 격리를 해지할 것인지 논의한다.
이번 중대본 회의는 새 정부 들어 첫 번째 회의다. 방역 당국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산하 코로나19 비상대응특별위원회가 발표했던 ‘코로나19 비상대응 100일 로드맵’도 논의했다.
이 차관은 “새 정부 출범 100일 내에 과학적이고 지속 가능한 코로나 대응체계를 재정립하겠다”며 “다시 찾아올 수 있는 코로나 재유행에도 철저하게 대비토록 하겠다. 로드맵 과제들을 충실히 이행해 신뢰받는 방역당국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100일 로드맵에는 ▲ 전국 1만 명 규모의 항체 양성률 조사 분기별 시행 ▲ 일반 의료체계 전환 등 지속 가능한 감염병 대응체계 확립 ▲ 고위험군 패스트트랙 등 취약계층 보호 ▲ 백신 이상반응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충분한 치료제 조기 확보 및 처방 확대 등이 담겼다.
한편 코로나19 고위험군인 60대 이상 고령층에 4차 접종에 적극 참여도 강조했다. 이 차관은 “지난주 확진자 중 60대 이상이 22%를, 전체 사망자 중 91.1%를 차지하고 있다”며 “60대 이상 미접종자와 1차 접종자가 4%에 불과하지만 사망의 36.1%를 차지하고 있다. 예방접종의 효과를 다시 한번 확인해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고령층을 대상으로 4차 접종을 시행하고 있다”며 “고령층의 적극 참여를 요청드리며, 자녀들과 지방자치단체는 고령층이 편리하게 접종받을 수 있도록 적극 도와달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