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자산건전성 지표 현재까지 양호한 수준

[뉴스포스트=주가영 기자]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줄어든 반면 대손충당금적립률이 오르면서 자산건전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부실채권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은행 부실채권 현황 (자료=금융감독원)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월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0.45%로 전분기말(0.50%) 대비 0.05%포인트 하락했다. 전년 동월말 대비로는 0.17%포인트 떨어졌다.

지난 3월 부실채권은 10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 말 대비 1조원 감소했다.

기업여신이 9조2000억원으로 전체 부실채권의 84.9%를 차지했고 가계여신이 1조5000억원, 신용카드 채권이 1000억원 순이다.

올해 1분기 중 신규발생 부실채권은 1조8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8000억원 감소했다. 기업여신 신규부실이 1조2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8000억원 감소했으며, 가계여신 신규부실은 6000억원으로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이다.

지난 3월말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81.6%로 지난해 4분기 말 대비 15.7%포인트 상승했다. 전년 동월말 대비로는 44.3% 올랐다.

은행의 자산건전성 지표는 전 분기 말 대비 개선되면서 현재까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부실채권비율이 지속 하락하고, 부실채권 대비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지속 상승하는 추세다.

다만 최근 시장금리 급등, 원자재가격 상승, 국내외 경기침체 우려 등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하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상황이다. 또 만기연장·상환유예 등 각종 금융지원 조치가 추후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이 대내외 경제 충격에도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대손충당금 및 자본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예정”이라며 “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내역을 지속 점검하고 대손충당금 및 자기자본 확충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