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난 라마스와미 교수 “실행력 명확해 성공 가능성 높다”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SK이노베이션의 파이낸셜 스토리 핵심인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해 “궁극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전략”이라는 글로벌 석학의 평가가 나왔다.
4일 SK이노베이션에 따르면, 美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썬더버드 경영대학원의 카난 라마스와미 교수는 “SK이노베이션의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은 혁신하려는 SK의 의도가 잘 드러난 전략”이라며 “미래에 대한 명확한 모습을 완성하고 실행 계획도 타당하다”고 분석했다.
라마스와미 교수는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 산업, 지속가능 경영, 기업 거버넌스 및 인수합병 등을 전문으로 하는 글로벌 석학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라마스와미 교수의 이번 SK이노베이션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분석은 SK이노베이션과 공동으로 진행됐다. 분석결과는 보도채널인 SKinno News에 칼럼 형식으로 지난 4일 게재됐다.
이 분석에서 라마스와미 교수는 SK이노베이션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이 △명확한 목적과 비전 △실행 계획의 타당성 △기업 문화 및 경영 시스템과 같은 무형의 이점 등 세 가지와 ‘할 수 있다’는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한 SK경영진 등이 있어 궁극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특히, 최태원 SK회장의 탄소감축 의지와 ‘그린 워싱’ 논란에 대한 확고한 입장을 예로 들면서 SK그룹은 글로벌 기후변화라는 도전 과제에 대해 뚜렷한 목적의식과 명확한 의지를 다져 온 몇 안 되는 기업 가운데 하나라고 평가했다.
명확한 목적과 비전
라마스와미 교수는 SK이노베이션이 포괄적으로는 ESG, 구체적으로는 넷제로 달성을 위해 그린 앵커링과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에 깊이 집중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변화를 빠르게 받아들이고 일관성 있게 전략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신규 사업에 최적화된 자원 배분을 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라마스와미 교수는 “일부 기업들의 사례처럼 단순히 소유자 변경일 뿐인 정제시설 자산 처분 형태가 아니라, 기후 위기에 대한 지속가능한 해결책 제시라는 책임감을 갖고 노후화의 위협을 성장의 기회로 바꾸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의 가장 큰 장점으로 전략의 명료함을 꼽았다. ‘무엇’과 ‘왜’가 명시된 방향성이 명확한 메시지라는 것이다.
같은 관점에서 SK이노베이션이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가 가까운 미래에 석유화학사업을 급진적으로 재편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구체적인 전환 일정과 단계를 정의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실행 계획의 타당성
라마스와미 교수는 SK이노베이션의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이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하는 획기적이고 중장기적인 탄소 감축 방안 △조직이 작은 변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탄소 감축을 달성하는 방안 등 두 가지를 체계적으로 담고 있다고 분석했다.
라마스와미 교수는 “SK이노베이션은 업스트림 영역인 석유개발 분야에서 탄소 포집, 저장 사업을 비롯해 다운스트림 및 화학 분야에서 열분해, 해중합과 같은 여러 기술과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정유 및 마케팅 분야에서는 리뉴어블 원료와 넷제로 원유 등을 도입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슈퍼스테이션 구축 등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날 SK이노베이션만큼 친환경 비즈니스 추진 계획, 일정, 성과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기업을 보지 못했다”며 “이는 그린워싱에 대한 의심을 잠재울 수 있는 중요한 조치”라고 했다.
SK이노베이션은 라마스와미 교수의 이 같은 분석에 대해 “그린 트랜스포메이션 전략의 중요성과 의미가 글로벌 석학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인정받은 의미도 있지만,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어 석유화학 산업에 성공적인 변화 방향을 제시해 달라는 것으로 해석한다”며 “그린 트랜스포메이션을 포함한 파이낸셜 스토리는 이해관계자들과의 소통과 신뢰가 중요한 만큼, 이번 평가를 계기로 실행력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