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영업이익 전년 대비 31.73% 감소
LG전자, 기저효과 빼면 영업익 2000억 원 줄어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7일 2022년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양사 잠정실적 모두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에 참가한 참석자들의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2'에 참가한 참석자들의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이날 오전 삼성전자는 연결기준으로 올해 3분기 매출 76조 원, 영업이익 10조 8000억 원 등의 실적을 거둘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73% 증가, 영업이익은 31.73% 감소한 수준이다.

LG전자도 같은 날 오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21조 1714억 원, 영업이익 7466억 원 등의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LG전자는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0%, 25.1%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지난해 LG전자가 GM 전기차 리콜 관련 4800억 원의 대손충당금을 반영한 기저효과를 제외하면, 실제 영업이익은 2000억 원 이상 줄었다. 지난해 3분기 LG전자의 영업이익은 5407억 원이었다.

양사의 향후 전망도 밝지 않다. 반도체와 TV·가전 등이 글로벌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요 축소에 민감한 시장인 만큼 실적 반등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美 연방준비제도 관계자들이 최근 매파적 발언을 이어가면서 원자재와 물류비 등 원가 상승으로 인한 수요 둔화 압박이 더욱 거세질 우려가 크다.

월스트리트저널, 파이낸셜타임스 등에 따르면 리사 쿡 연준 이사는 6일(현지시간)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간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제한적 통화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도 내년 초까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연준은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00~3.25%로 0.75%포인트 인상했다. 연준 점도표에 따르면 올해 연말까지 기준금리는 4.4%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