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지주·BNK캐피탈·BNK자산운용 등 3개 회사 대상 
현장 검사서 내부거래, 채권 몰아주기, 지배구조 문제 등 점검

[뉴스포스트=이해리 기자] 금융당국이 김지완 BNK금융그룹 회장의 자녀가 다닌 회사를 BNK금융 계열사가 부당하게 지원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진상 조사에 나섰다. 

(사진=BNK금융그룹)
(사진=BNK금융그룹)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날부터 BNK금융지주와 BNK캐피탈, BNK자산운용 등 3개 회사에 대한 현장검사에 착수했다. 

앞서 지난 11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감원 국정감사(국감)에서는 김 회장 자녀와 관련해 BNK금융그룹의 부당 내부거래 의혹과 채권 몰아주기 의혹 등이 제기됐다. 또한 그룹 회장 후보군을 내부 인사로 제한한 지배 구조 문제도 논란이 됐다. 

BNK자산운용은 2018년 4월 핀테크 사모펀드를 만들어 김 회장의 아들 A 씨가 영업이사로 근무하던 한 업체에 80억 원을 투자했다. 해당 펀드에 연체가 발생하자 BNK캐피탈이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50억 원을 대출해 부당 내부 거래를 했다는 의혹이 나왔다.

또 김 회장의 아들이 이직한 한양증권은 BNK금융그룹 계열사 발행 채권 인수단에 선정돼, 한양증권의 BNK그룹 금융지주 계열사 채권 인수 금액이 2019년 1000억 원에서 2022년 8월 1조 1900억 원으로 급증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는 전체 BNK금융그룹 계열사 발행 채권의 9.9%에 해당한다.

국회 정무위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9년 1000억 원 수준이던 한양증권의 BNK 계열사 채권 인수 물량은 김 회장 아들인 A씨가 한양증권 대체투자업 센터장으로 이직한 2020년부터 4600억 원, 2021년 4400억 원, 2022년 8월까지 2900억 원 등으로 대폭 증가했다.

또한 BNK금융지주가 김 회장 취임 이후 지주 최고경영자(CEO) 후보군을 지주 사내이사(상임감사위원 제외), 지주 업무 집행책임자, 자회사 CEO로 제한하도록 경영승계 계획을 변경한 점도 논란이 되고 있다.

강민국 의원은 “2017년 외부 인사 추천으로 들어온 김 회장이 2018년 돌연 BNK CEO 승계 계획을 변경하면서 후보군을 외부 인사 추천이 안 되도록 했다”면서 “본인이 임명한 계열사 대표 빼고는 회장이 되지 않도록 원천봉쇄한 것이다”고 비판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에 대해 “특정 금융기관과 지주사에 대해 말하긴 조심스럽지만, 원칙에 따라 기준을 갖고 필요한 부분을 조사·검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