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해리 기자] 하나의 카드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여러 카드를 등록해 사용할 수 있는 ‘오픈페이’가 첫발을 뗀다. ‘신한플레이’에 KB국민카드를 등록해서 쓰거나, ‘KB페이’에 하나카드를 등록해 사용하는 식이다.
여신금융협회는 오는 22일부터 신한·KB국민·하나카드가 ‘오픈페이’를 위한 앱카드 상호연동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앱카드 상호연동은 고객이 1개의 카드사 결제 앱(플랫폼)으로 카드사(발급사) 구분 없이 모든 앱카드를 간편하게 등록·사용·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다.
그동안 여러 카드사의 카드를 보유한 고객은 해당 카드사 결제 앱을 모두 설치해야 했다. 소비자 불편이 제기되자 카드업계는 ‘앱카드 상호연동 서비스’를 출시해 고객 편의성 제고 및 카드사 결제 앱 경제력 제고에 나섰다.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A사 결제 앱에서 B사를 선택하고 약관 동의 및 본인인증 후 신용·체크카드를 등록하면 된다. 이후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A사 앱으로 바코드·QR·근거리무선통신(NFC)·마그네틱보안전송(MST) 방식으로 결제하면 된다. A사 앱에 등록한 B사의 카드 사용내역을 조회·확인도 할 수 있다.
우선 22일부터 신한·KB국민·하나카드부터 앱카드 상호연동이 가능하다. 기존 카드사 앱을 업데이트하면 서비스가 시작된다. 2023년 2월 롯데카드와 3월 BC카드, 하반기 NH농협카드가 순차적으로 서비스에 참여할 예정이다. 현대카드와 우리카드는 서비스 실시 일정을 논의하고 있다.
현재 오프라인 가맹점에서만 이용할 수 있으며, 2023년 내년 하반기 중 온라인 결제도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여신협회 관계자는 “복수 카드사 결제 앱을 설치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게 됐다”며 “범용성 확대에 따른 카드사 결제 앱 경쟁력 제고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