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 ‘2023년 봄철 기후 분석 결과’ 발표
5월 평균 기온 13.5도...평년 대비 1.6도 높아

지난 5월 서울 송파구 인근 아파트 단지 벽에 무더위 영향으로 장미가 활짝 폈다. (사진=뉴스포스트 이별님 기자)
지난 5월 서울 송파구 인근 아파트 단지 벽에 무더위 영향으로 장미가 활짝 폈다. (사진=뉴스포스트 이별님 기자)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올봄은 때 이른 더위가 기승을 부렸다. 수치상으로도 평균 기온이 역대 가장 높았다.

9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3년 봄철 기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2023년 봄철 전국 평균 기온은 영상 13.5도로, 평년 대비 1.6도 높다. 기상관측망이 대폭 확충된 1973년 이후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종전 기록에서 가장 더웠던 봄은 지난해인 2022년이었다. 전국 평균 기온이 영상 13.2도를 기록했다. 하지만 1년 새 0.3도가 오르면서 기록이 바뀌었다.

평년에 비해 이동성고기압 영향을 자주 받고, 따뜻한 남풍이 불어 기온이 높아졌다. 특히 역대 가장 높았던 3월 기온(영상 9.4도, 평년대비 3.3 도 이상)이 봄철 고온에 가장 영향을 줬다. 3월 유라시아 대륙의 따뜻한 공기가 서풍류를 타고 우리나라로 유입된 게 원인이었다.

4월은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폭염의 간접 영향을 받았다. 4월 상순부터 중순까지 인도차이나반도에서 이상적으로 발생한 고온역이 중국 남부지방까지 확장해 찬 대륙고기압은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으로 변질되면서 우리나라까지 영향을 미쳤다.

5월 중순에는 우리나라 동~남동쪽에 이동성고기압이 위치하면서 따뜻한 남서 계열의 바람이 강하게 불고, 강한 햇볕이 더해져 전국적으로 고온이 나타났다. 특히 동해안 지역은 푄현상이 나타나면서 일 최고 기온이 30 도를 넘기도 했다.

올해 봄철 전국 강수량은 284.5 mm로 평년(222.1~268.4 mm) 보다 많았다. 역대 18위를 차지했지만, 지역별 강수 편차가 컸다. 봄철 누적 강수량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평년보다 많았고, 동해안을 중심으로는 평년보다 적었다.

3월과 4월은 이동성고기압의 영향 아래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었다. 반면 5월은 중국 남부지방에서 발달한 저기압과 기압골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면서 봄철 누적강수량에 크게 기여했다. 

올해 5월 누적강수량은 191.3mm로, 역대 5월 강수량 3위를 차지했다. 1위는 1974년 5월 강수량 212.1 mm, 2위는 1997년 199mm다.

황사도 많았다. 올봄 전국 평균 황사일수는 9.7일로 평년보다 4.4일 더 많아 역대 7위를 기록했다. 서울은 15일로 평년 대비 8.2일이 많아 역대 두 번째 순위를 차지했다.

중국 북동부 지방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고 기온이 높았다. 이 지역에서 저기압이 발생했을 때 모래 먼지가 북풍계열의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로 유입됐다. 특히 4월에는 황사발원지 주변에서 발생한 모래 먼지가 매우 강한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 깊숙이 유입됐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지난 봄철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서유럽·남미 등 전 세계적으로 고온 현상이 나타났고, 특히 5월에는 이례적으로 많은 비가 내려 침수 피해가 발생한 곳도 있었다”며 “기상청은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감시를 더욱 강화하고, 다가오는 여름철을 대비해 방재 기상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해 재해를 예방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