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과거 성공 경험 잊고 차별적 성공 방식 만들어야”

[뉴스포스트=홍여정 기자] “유연한 생각으로 현재의 환경에 부합하는 우리만의 차별적 성공 방식을 만들어야 한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18일 진행된 ‘2023 하반기 VCM(Value Creation Meeting)’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통해 기업가치를 제고해야 한다며 “사업의 관점과 시각을 바꿔 달라”고 당부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롯데지주 제공)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사진=롯데지주 제공)

이날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진행된 VCM에는 신동빈 롯데 회장을 비롯해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 각 사업군 총괄대표와 계열사 대표, 롯데지주 실장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롯데는 이번 VCM에서 지정학적 불확실성 증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저성장 기조, 디지털 변혁 등 기업 경영 환경 변화를 촉진하는 외부 요인을 점검하고 지속 성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신동빈 회장은 하반기 경영 키워드로 ‘언러닝 이노베이션(Unlearning Innovation)’을 제시했다. ‘언러닝 이노베이션’은 ‘배우거나 경험한 것을 잊는다’는 ‘언러닝’을 활용해, 과거에는 효과적이었지만 현재의 성공에 제약을 가하는 사고방식과 행동 양식을 버리고 새로운 혁신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한 용어다. 

신 회장은 “환경 변화를 무시하고 과거의 성공 경험을 고집해서는 안될 것”이라며 “유연한 생각으로 현재의 환경에 부합하는 우리만의 차별적 성공 방식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국내 사업과 기존 사업 뿐만 아니라 해외 사업 및 신사업에 대해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한다”며 “매출∙이익 같은 외형 성장과 더불어 현금흐름과 자본비용 측면의 관리 강화가 필요하며, 항상 ESG 관점에서 사업을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동빈 회장은 글로벌 경제 블록화, 고금리∙물가상승, 기술 발전 가속화 등 지금껏 경험하지 못한 경영 환경을 열거한 후 “불확실한 미래에서 확실한 것은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국내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될 것”이라며 “해외 사업은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동남아시아 같은 신성장 시장과 미국, 유럽 등 선진 시장도 함께 고려해 달라고 주문했다. 

신 회장은 ▲미래형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비전과 전략에 부합하는 투자 ▲선제적 리스크 관리 등 세가지 경영방침을 당부했다. 신 회장은 “고성장, 고수익 사업과 ESG에 부합하는 사업들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로 전환해 달라”며 “기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창출된 이익으로 미래 신성장 동력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회장은 CEO들에게 지속가능 성장을 당부했다. 그는 “강하고 담대하게 행동하고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위기를 돌파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며 “CEO는 회사의 미래를 책임지는 자리라는 것을 잊지 말고 회사의 미래 모습과 고객에게 제공해야 하는 차별적 가치에 대해 고민해 달라”고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신 회장은 신 회장은 "지금은 우리에게 미래를 준비하고 재도약을 위한 성장의 모멘텀을 만들어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저와 함께 변화의 중심에 서 달라"는 당부로 VCM을 마무리했다. 

(사진=뉴스포스트DB)
(사진=뉴스포스트DB)

이날 VCM에서는 외부 전문가를 초빙해 ‘세계 경제 패러다임 변화와 전망’, ‘생성형AI 의미와 비즈니스 활용’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이어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가 상반기 경영 실적을 돌아보고 해외 사업 전략, 효율적 투자 집행 등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또한 헬스 앤 웰니스, 모빌리티 등 롯데가 추진하고 있는 신성장 동력 육성 현황과 계획도 공유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2030 글로벌 톱10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비전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3개 메가 플랜트, 총 36만 리터 항체 의약품 생산 규모를 국내에 갖출 예정이다. 1개 플랜트 당 12만 리터 규모의 항체 의약품 생산이 가능하며, 임상 물질 생산을 위한 소규모 배양기 및 완제 의약품 시설도 추가한다. 

헬스 앤 웰니스 다른 한 축인 롯데헬스케어는 오는 9월 유전자 검사, 건강 검진 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운동용품, 맞춤 식단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케어 플랫폼 ‘캐즐’의 그랜드 오픈을 앞두고 있다.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롯데정보통신을 중심으로 자율주행셔틀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등 사업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이어 주요 사업군별 총괄대표가 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식품군은 기존 사업 밸류체인 고도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 글로벌 사업 확장 및 푸드 테크를 활용한 미래성장 동력 확보 방안을 설명했다. 유통군은 ‘고객의 첫번째 쇼핑 목적지’라는 비전 달성을 위해 라이프스타일, 그로서리, 데이터 커머스 등 포트폴리오 고도화 추진 방안을 논의했으며 화학군은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방안과 전지소재사업 및 수소암모니아 등 신사업 육성전략을 공유했다. 

한편 이날 VCM에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케미칼 상무도 참석했다. 최근 신 상무는 일본 롯데파이낸셜 대표이사에 이름을 올렸다. 신 상무는 지난해 8월 롯데파이낸셜 최대 주주인 롯데스트레티직인베스트먼트(LSI) 공동대표에 선임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재계에서는 올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 VCM에도 모습을 보인 만큼 롯데 그룹 3세 경영 승계에 속도가 붙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